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전시소식[예술의 시간] 여기는 우리 땅이야 This is Our Land ~ 8/20까지

2022.06.24

Writer : news
  • 페이스북


 

 

전시 정보

전시제목 | 여기는 우리 땅이야 This is Our Land

전시기간 | 2022. 06. 23.(목) - 08. 20.(토)

전시작가 | 컨템포로컬 ContempoLocal - 윤주희, 최성균

관람시간 | 월-금10:00-18:00 / 토12:00-19:00 (일요일, 공휴일, 7/30~8/2 휴관)

관람정보 | 관람료 없음, 사전 예약 없음

 

전시장 정보

전시공간 |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Art Centre Art Moment

주소 | 서울시 금천구 범안로9길 23, H동

전화번호 | 02-6952-0005

홈페이지주소 | www.artmoment.org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artmoment.doksan

 

전시 사진








 

 

전시 및 작가 소개

여기는 우리 땅이야 (This is Our Land)

컨템포로컬 (ContempoLocal)

 

1854년 시애틀 추장은 땅을 팔고 떠나라는 미국 대통령  에게 ‘땅은 우리의 어머니이며, 우리에게 있어 이 땅은 거룩한 것’이라는 편지를 보낸다. ‘땅이 물려준 이야기, 반짝이는 물, 형제와 같은 강은 누구에게도 소유된 적 없었던 것인데, 어떻게 우리에게 살 수 있다는 것인가.’

 

자본주의가 출현하기 전까지는 하늘과 땅, 인간과 집은 공존해 왔으며, 주인 있는 땅에 한해서도 일부 권한을 나눠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 땅을 소유하는 개념은 지금과는 달랐다.  

 

 움막에서 펜트하우스까지 그곳이 어디든 땅은 인간의 은신처이자 삶을 이뤄가는 물리적인 공간이었다. 움막 안에서 펜트하우스를 욕망하게 된 건 그리 오랜 과거의 일이 아니다. 땅과 집이 인간에게 무엇인가에 대한 충분한 성찰 없이 사람들은 더 이상 집이 아닌 병원에서 태어나고 죽으며, 더 이상 동네에서 살지 않고 대기업 이름이 붙은 고층 아파트에 살게 되었다. 우리 중 대부분은 거주자가 아닌 재산 관리인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개인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이익집단이 ‘우리’가 된다면, 전시명에 사용한 ‘우리’는 거대한 자본주의 시스템에 적응하고자 발버둥치는 불안한 집단주의적 몸부림이라 할 수 있겠다.

 

예술의 시간, 2022 지역기반프로젝트 《여기는 우리 땅이야》는 물리적 개념으로서의 땅(지역)이 삶의 반경 안에서 나(우리)와 어떤 관계를 구축해 가는지 관찰한다. 그리고 소유로서의 땅, 재산으로서의 집을 보호하는 사회적 합의와 그 안에서 작동하는 개인-공동체의 관계에 관해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에서 컨템포로컬은 내 땅을 지키는 우리의 욕망이 삶과 죽음을 가르는 치열한 전쟁에서의 생존방식과 다를 바 없음을 말한다. 한편, 개인과 집단을 이루는 가시적, 비가시적 요소들이 부조화와 조화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오가는 것을 뒤쫓는다. 

 

컨템포로컬이 2014년부터 지속해 온 연구는 그들이 위치한 서울의 언저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윤주희와 최성균, 부부 듀오인 컨템포로컬은 서울 금천구에서 살며, 양육하며, 연구하며, 작업한다. 진도군 조도에서의 작업 〈우리가 있는 기념비〉 2015, 시흥시 월곶에서의 〈월곶, 사운드스케이프〉 2016, 강원도 양구에서의 〈PUNCH BALL〉 2018, 관악산에서의 〈숲세권-관악산〉 2019, 시흥시에서의 〈우리가 있는 기념비 in 시흥〉 2019로 연결되는 작업들은 이들이 삶의 반경 안에서 자신의 자리를 지켜내려는 사람과 장소에 관심을 두고 끊임없이 파고든 궤적이다. 이후 〈날아가고 스며들고 젖어들고〉 2020, 〈감각노동〉시리즈에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 이들의 숙명적 키워드인 가족, 노동의 문제가 담겼다. 양육의 과정을 겪으며 단단해진 경험은 윤주희, 최성균이 속한 ‘우리’안에서 목소리를 드러낸다.   

 

땅따먹기 놀이의 기괴한 결과물을 주거 형태로 설계한 설치작업이 2층 전시장 배경을 두른다. 이 작업은 지역의 건축가 그룹인 어반 소사이어티와 협업하여 설계하였으며, 놀이로 획득하게 된 기이한 모양의 땅에 실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어떤 모양의 땅이든 점거하는 행위로 지켜내고자 하는 의지를 담는다. 2층 전시장 한가운데 펼쳐진 모듈 조립 설치작업은 실제 전쟁과 가상의 전쟁 게임에서 내 땅임을 선포하거나, 내 땅이 되도록 전략을 구상하는 기호에서 빌려왔다. 이 상징적 기호는 전시장 한가운데에서 사뭇 장엄하게 공간을 점령한다. 모듈 바깥쪽에는 벌레 한 마리도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강력한 살충제를 발랐다.

4층 전시장에서는 지역 경계 표지판을 따라 경계 안에 있거나, 경계 밖에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경계를 알리는 표지판은 대개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와 같은 친절한 인사말들이 쓰여 있지만, 이 인사말 역시 경계선 안에 속한 사람들이 건네는 인사이지, 경계선 밖에는 또 다른 경계와 집단이 이어질 뿐이다. 경계선은 우리를 견고히 하는 장치이며, 경계선이 선명할수록 우리는 너희와 구별되었음을 확실히 해둘 수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 체제 안에서라면 내 땅은 내 마음대로 해도 되는 것인가. 땅을 소유한 권리를 모두가 주장한다면, 누군가는 경계 밖으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당신이 오늘 밤 돌아가 쉴 그 곳에 모여 있는 ‘당신의 소중한 우리’ 역시, 상황에 따라 경계 안에 존재할 수 있고, 경계 밖에도 존재할 수 있다. 

 

/ 주시영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컨템포로컬 (ContempoLocal)

윤주희, 최성균 두 작가가 서울 금천구를 중심으로 결성한 듀오이다. 이들은 주로 도시와 지역을 이루는 요소들 사이의 관계와 그 안에서 벌어지는 다이내믹을 관찰하여, 특정 집단과 그들의 배경 사이의 연관성을 탐색한다. 자신의 자리를 지켜내려는 사람 혹은 장소에 관심을 갖고, 주변부를 배회하며 구조 안에서 개인과 공동체를 주제로 작업한다. 이들은 현재 금천구 시흥동에서 작업실이자 전시공간인 <범일운수종점Tiger1>을 운영하면서 지역을 동시대적 시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