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People천장 뚫린 국제갤러리…깨진 운석 덩어리의 환영

2024.02.01

[뉴시스] 박현주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 Pinterest

K2~K3, 김홍석 개인전 3월3일까지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제갤러리는 1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서울점(K2, K3)에서 김홍석 작가의 개인전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전을 개최한다. 2024.02.01. [email protected]

국제갤러리 전시장이 연극 무대처럼 꾸며졌다. 마치 거실 한복판에 거대한 운석 덩어리가 떨어진 것 같은 현장이다. 천장까지 뻥 뚫려 진짜처럼 연출했다. 의자에 앉아 책상에서 그림 그리던 순간 날벼락을 맞은 것 같은 분위기. 쪼개진 운석안에는 찌그러진 별 두 개가 박혀있다.

이 상황. 우리가 운석 덩어리라고 보고 있는 것은 가짜지만, 실제 작품이라는 점에서는 진짜다. 천장까지 뚫어가며 '스펙타클(spectacl)한 작품을 펼친 이유는 무엇일까?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제갤러리는 1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서울점(K2, K3)에서 김홍석 작가의 개인전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 개인전을 개막했다. 2024.02.01. [email protected]

"'믿음에 대한 오류'를 말합니다."

1일 국제갤러리 전시장에서 만난 김홍석 작가는 "우리가 믿어 의심치 않았던, 그리고 당연하게 여겨지는 정의들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표현해 기존의 인식을 변화 시키는 것이 미술가의 책임"이라고 했다.

'이게 실제 돌인가, 가짜 돌인가'하는 의심의 구역에 끌어들이는 그의 작업은 겉과 속이 다른 저항의 의식이 담겼다.

"탈구조주의의 '해체 이론'이 현실에 실현되지 못한 것이 그 증거"라는 그의 말처럼 기존 인식을 꼬이게 만드는 능력이 탁월하다. 사회가 불문율적으로 합의한 실재적 존재와 해석적 존재의 개념을 뒤엉키게 만든다.

그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로서 현대미술을 소개하면 할수록 이해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됐다"고 말했다.

"정상적인 미술은 서구의 미술로 인식되어 있는데, 그 정상이라는 단어는 어떻게 만들었고 보통 사람의 인식에 어떻게 심어져 왔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이번 작업이 시작됐다. 지금 현대미술은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인식과는 달리 굉장히 진행되어 있는데, 과연 누가 이해할 것인가. 이분법적 생각들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받아 들일 수 있을까? 이번 전시는 이와 같은 도전적인 질문이다."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제갤러리는 1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서울점(K2, K3)에서 김홍석 작가의 개인전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에 선보인 'An Actual Villain(실재 악당)'(오른쪽) 작품. 2024.02.01. [email protected]

그는 지난 20여 년간 다양한 형식과 매체의 범주를 넘나들며 차용과 모방의 기로에서 동서양의 애매모호한 인식의 질서를 비판해왔다.

이번 전시 작품은 이양적인 대립을 보여준다. 친숙하면서도 낯선 광경을 선사하는 K2 1층 공간의 작품들은 "아주 정상적인 작업이기도 하고 비정상적인 작업이다."

분명 아는 것 같은데 찬찬히 들여다보면 어딘가 생소해지는 형태의 조각들이다.

작가는 "혼란을 줄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는 누구나 즐겁게 볼 수 있게 의도적으로 구체적인 형상으로 제작했다"고 했다.

고양이 몸을 한 조각은 (복면을 쓴)조커의 얼굴로 눈길을 끌며 악당의 모습을 보인다. 사람(조커)이 고양이 털 옷을 입은 것인지, 고양이가 조커의 탈을 쓴 것 인지 분간할 수 없고, 시멘트로 붙인 굽 높은 슬리퍼는 그 존재의 가치와 목적성에 대한 명쾌한 답을 내놓지 않는다.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국제갤러리는 1일 서울 종로구 국제갤러리 서울점(K2, K3)에서 김홍석 작가의 개인전 '실패를 목적으로 한 정상적 질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작품 '시멘트 두 조각'을 선보이고 있다. 2024.02.01. [email protected]

"기존의 인식, 즉 아름다움, 완전함, 옳음이라는 인식 체계를 바꾸고 싶다"는 욕망을 보인 작가는 "결국 미술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미술은 무엇을 하는가?' 라는 것"이라고 했다.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사회는 어디서 비롯됐고 어디서 문제가 됐는지를 인지하지 못하면 미술로서 풀어가기 어렵다. 미술가는 기존의 인식을 변화 시킬 수 있게 끔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전시를 통해 미술이 특수하거나 특별하다고 느끼는 감상자의 마음에 균열을 내는 경험이 되었으면 한다"고 바랐다.

작가의 설명을 들을수록 생각이 복잡해지고 뒤엉킨 상태가 되지만 작품은 보기 쉽다. SNS에 사진 찍어 올리기 딱 좋은 '있어 보이는' 분위기다. 작가가 만들어낸 정신분열적 물질성과 이미지 환영의 무대가 현란하다. 전시는 3월3일까지.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김홍석 작가.2024.02.01. [email protected]

작가 김홍석은?
서울 출생으로 1987년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수학했다. 현재 상명대학교 무대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작품은 현재 미국 휴스턴 미술관, 캐나다 국립미술관, 호주 퀸즈랜드 미술관, 프랑스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르 콩소르시움, 일본 구마모토 미술관과 가나자와 21세기 미술관을 비롯하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포스코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