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청와대의 원형을 보전하며 전시중심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시키겠다는 구상을 내놓자마자 야권은 물론 청와대 관리비서관실, 문화재청 노조, 문화재위원회에서까지 불협화음이 터져나오고 있다.
물론 반대의 목소리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술계는 시각문화 중심의 문화예술 공간화를 환영하고 나섰다. 관광업계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청와대 활용을 놓고 미술계와 문화재계, 학계의 입장이 갈리며 문화예술계 내부 갈등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문체부로서는 반대의 깃발을 든 문화재청이 산하기관이라는 점이 더욱 아프다. 자칫하다가는 내부 소통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비판에 휩싸일 수 있어서다.
◆박보균 장관 "청와대 보전과 전시, 멋지게 조화시키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1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청와대 운영 청사진을 내놨다. 건물의 원형을 그대로 보전한 프랑스 '베르사유궁전', 이탈리아 피렌체 '피티궁전'을 참고해 지난 5월 국민의 품으로 돌아온 청와대를 최대한 보전하되, 문화예술·자연·역사를 품은 고품격 복합문화단지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문체부 구상에 따르면 본관 1층 로비와 세종실(335㎡), 충무실(355㎡), 인왕실(216㎡)이 전시공간으로 활용된다. 관저의 거실과 별채 식당에도 미술품이 설치된다. 영빈관은 청와대가 소장하고 있던 600여점의 미술작품들을 공개하는 고품격 미술품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꾸며진다.
대통령들이 실제로 거주했던 본관·관저·구본관 터는 역대 대통령들의 리더십과 삶을 조망하고 권력의 심장부를 실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진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지시로 철거된 구 본관 모형도 복원키로 했다. 정부 수립부터 6.25, 산업화, 민주화의 고뇌를 함께한 대통령들의 흔적이 있는 곳이라는 판단이다.
[뉴시스] 박주연, 신효령 |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