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658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유럽 도서관·박물관 자료 한글로 검색해 이용한다

[머니투데이] 이언주 기자 | 2012.11.28

한국저작권위원회(위원장 유병한)는 지난 27일 유로피아나와 '공유저작물 정보 교환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유로피아나 연례총회 기간 중 현지에서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유로피아나(<a href="http://www.europeana.eu" target=_new>www.europeana.eu</a>)는 EU 집행 위원회가 추진하는 기관으로 유럽의 도서관, 박물관 등 200만 건의 문화유산 자료를 디지털로 제공하고 있다. 위원회와 유로피아나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따라 양 기관이 관리·보유하는 공유저작물 메타정보를 교환하기로 했다. 위원회 측은 "해외에서 우리 문화유산을 쉽게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주요 메타정보를 영문화하여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타정보'(metadata)는 데이터의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로서, 공유저작물의 메타정보는 저작물 분류, 제목, 저작자 정보 등을 말한다. 지금까지 위원회는 공유저작물 포털사이트 공유마당(<a href="http://gongu.copyright.or.kr" target=_new>gongu.copyright.or.kr</a>)을 통해 유로피아나의 콘텐츠를 영문으로만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Open API)을 제공했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공유마당에서 한글로 유로피아나의 공유저작물을 직접 검색하며 해당 콘텐츠를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위원회는 또 28개 언어로 구성된 유로피아나의 메타정보 중 6개 언어(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태리어, 폴란드어, 불어)로 구성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아 서비스 할 예정이다. 유병한 위원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한국과 유럽의 공유저작물을 활성화하여 자유롭게 활용하기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위원회는 유로피아나 등 해외 공유저작물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용어설명> *Open API(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외부에서도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공개한 프로그램 환경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카소, 모네 등 작품 7점 도난...1100억원 이상 가치

[머니투데이] 이슈팀 김우람 기자 | 2012.10.17

네덜란드에서 전시 중이던 파블로 피카소, 클로드 모네, 앙리 마티스, 폴 고갱 등 유명 화가들의 작품 7점이 도난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테르담 쿤스트할 미술관에서 전시 중이던 모네의 '런던의 워털루 다리'와 '런던의 채링 크로스 다리', 2점과 피카소의 '광대의 얼굴', 마티스의 '책 읽는 여인', 고갱의 '창문 앞에 여인' 그리고 루시안 프로이드, 마이어 데 한의 작품 각각 1점씩이 도난당했다. 쿤스트할 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지난 7일부터 '아방가르드 전'을 열고 트리톤 재단이 소장한 미술품 150여 점을 전시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리톤 재단은 지난 2011년 사망한 대부호 빌럼 코르디아가 수집한 전위예술 양식의 미술 작품 다수를 보유해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도난 된 작품들은 가격으로만 따져도 1억 달러(약 1106억 원)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돼 근래 들어 최대 규모의 미술품 도난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한편 현지 경찰은 미술관의 CCTV 녹화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목격자들의 진술을 통해 용의자 추적에 나섰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뭉크의 '절규' 1300억원 주고 사들인 사람은?

[머니투데이] 이슈팀 장영석 기자 | 2012.07.12

지난 5월 소더비 미술경매에서 사상 최고가 미술품 경매 기록을 세운 에드바르트 뭉크작 '절규'의 구매자가 밝혀졌다. 11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노르웨이 표현주의 화가인 뭉크의 대표작 '절규'를 1억2,000만달러(약 1,373억원)에 사들인 사람은 뉴욕의 자산가인 리언 블랙이라고 보도했다. 블랙은 1,050억달러(약 120조1,500억원) 규모의 아폴로글로벌 매니지먼트를 운영 중이다. 미국의 경제 전문지인 '포브스'는 그의 자산을 지난 3월 기준 34억달러(약 3조8,900억원)로 평가하며 블랙을 세계 갑부 순위 330위에 올려놓았다. 열렬한 미술품 수집가로 알려진 블랙은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뉴욕현대미술관의 이사도 맡고 있다. 그는 이번에 낙찰 받은 '절규' 외에도 라파엘로 산치오나 반 고흐, 피카소의 작품을 비롯해 중국 청동제품까지 약 7억5,000만달러(약 8,583억원) 어치의 예술작품을 소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블랙은 3년 전 라파엘로가 그린 '뮤즈의 얼굴'을 영국 런던 크리스티 경매에서 2,920만파운드(약 550억원)에 낙찰받으며 드로잉 작품 중 최고 경매가를 세우기도 했다. 블랙이 사들인 뭉크의 '절규'가 일반에 전시될 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작품을 경매한 소더비와 블랙의 대변인도 WSJ의 보도에 대해 어떤 논평도 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떻게 피카소 작품에..." 美 관람객, 스프레이로 훼손

[머니투데이] 이슈팀 백예리 기자 | 2012.06.21

미술관에 전시된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이 스프레이로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ABC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3일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미술관의 메닐 컬렉션에서 한 방문객이 전시 중이던 피카소의 1929년 작 '붉은 안락의자에 앉아 있는 여인'을 훼손하고 달아났다. 그는 황금색 스프레이로 황소 그림을 그리고 이와 함께 스페인어로 '정복(conquista)'이라고 적었다. 이 작품은 메닐 컬렉션이 소장한 피카소 작품 9점 중 한 점이다. 이 사건은 당시 현장에 있던 다른 방문객이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내려던 중 해당 방문객의 행동을 목격하고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해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게재하면서 알려지게 됐다. 23초 분량의 동영상에는 검은색 차림의 20세 전후 남성이 피카소 작품에 다가가 수 초 만에 그림을 훼손한 뒤 달아나는 장면이 담겨 있다. 미술관 측은 이 작품을 보관연구실로 보내 복원작업을 실시했고 원형을 되살리는 데에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경찰은 동영상에 찍힌 히스패닉계 20세 전후의 남성을 쫓고 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살 천재 화가' 그림이 1500만원? 美 뉴욕서 개인전

[머니투데이] 이슈팀 황인선 기자 | 2012.06.19

'5살 천재 화가'가 미국 뉴욕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호주 멜버른 출신의 5살 천재 화가 아엘리타 앙드레는 최근 뉴욕 첼시의 아고라 갤러리에서 개인전 '신비스런 우주'를 열었다고 미국 '허핑턴포스트'가 15일(현지시간) 전했다. 앙드레의 전시회는 다음달 3일까지 열린다. 태어난 지 11개월부터 그림을 그린 앙드레는 22개월 무렵 호주의 한 전시회에 작품을 내며 정식 등단했다. 지난해에는 뉴욕에서 '색의 신동'이라는 주제로 첫 개인전을 가졌었다. 앙드레의 작품은 추상표현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앙드레는 "그림을 사랑하고, 24시간 동안 그릴 것"이라고 미술 활동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안젤라 디 벨로 아고라 갤러리 디렉터는 "가장 작은 작품(18 x 36 inches)은 4,600달러(약 530만원), 가장 큰 작품(132 x 60 inches)은 12,900달러(약 1,500만원)에 가격이 책정됐다"고 말했다. 앙드레의 작품을 전시하는 아고라 갤러리는 개인전을 소개하는 영상을 지난 12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공개하기도 했다. 이 동영상에는 앙드레가 직접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눈길을 끈다.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www.youtube.com/embed/ccPoUrLv4wo?rel=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