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2,667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케이옥션 5월경매 낙찰률 79%...김환기 '달과 매화와 새' 23억

[뉴시스] 박현주 | 2018.05.24

백남준 'TV is New Heart' 경합끝 6억1000만원 '호박 작가' 야요이 쿠사마 작품 인기 여전 케이옥션 5월 경매가 낙찰률 79%, 낙찰총액 128억5970만원을 기록했다. 23일 서울 신사동 케이옥션 경매장에서 열린 이날 최고가 작품은 김환기의 '달과 매화와 새'로 18억원에 시작, 5000만원씩 올라가 경합 끝에 23억원에 낙찰됐다. 김환기 작품은 이번 경매에 7점이 출품되어 6점이 팔려 낙찰 총액 32억8800만원을 기록했다. 단색화가 박서보의 '묘법 No. 1-79-81'으로 8억2000만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이대원의 보기 드문 5m 대작 '배꽃'도 경합 끝에 5억원에 낙찰되는 기록을 세웠다. 한국 근현대 부문 특별섹션으로 선보인 '開花 - 한국 근대미술의 꽃을 피우다'의 7점도 모두 낙찰됐다. 박상옥, 손응성, 임직순, 박영선, 최영림, 심형구, 류경채 등 194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극변하는 정세 속에서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시대를 풍미했던 거장들의 작품이다. 박영선의 작품 '실내'는 1000만원에 시작해 6000만원, 박상옥의 '서울 풍경'은 2100만원, 심형구의 '오누이'와 최영림의 '쌍불'도 경합 끝에 각각 3200만원, 2900만원에 팔렸다. 이 밖에 사실주의 풍경화와 정물화의 대가이며, 창덕궁 비원을 즐겨 그려 비원파의 창시자로 불리기도 했던 손응성의 도자기를 그린 '정물'작품은 1400만원, 김환기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서정주의 추상화가 류경채의 '한 없는 대화'도 6200만원에 낙찰되었다.

크리스티 홍콩경매 최초로 바스키아 작품 나온다

[뉴스1] 여태경 | 2018.05.23

26일과 27일 이틀 간 진행…바스키아·자오우키 최고 추정가 홍콩 크리스티는 26일과 27일 이틀에 걸쳐 상반기 '아시아 20세기 & 동시대 미술' (Asian 20th Century & Contemporary Art) 경매와 '우리 시대의 예술가들: 동양과 서양의 대화'(Contemporaries: Voices from East and West) 특별 이브닝 경매를 진행한다. 특히 '우리 시대의 예술가들: 동양과 서양의 대화' 특별 이브닝 경매에는 장 미쉘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 등 서양의 주요 작가들과 백남준, 야요이 쿠사마(Yayoi Kusama), 요시토모 나라(Yoshitomo Nara), 쩡판즈(Zeng Fanzhi), 자오우키(Zao Wou-Ki)를 포함한 아시아 대가들의 작품이 함께 출품돼 관심이다. 한국 작가로는 백남준 외에도 박수근, 이성자, 이우환 화백 등의 작품이 출품된다. 이브닝 경매에는 중국 근대 미술의 거장 자오우키의 1959년 작품과 미국의 천재 화가 장 미쉘 바스키아의 1982년 작품이 공동으로 가장 높은 추정가(7800만HKD, 중간 추정가 기준)를 기록하고 있다. 장 미쉘 바스키아의 작품이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백남준의 작품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을 모티프로 한 'Alexander the Great'가 출품된다. 크리스티 코리아에 따르면 아시아 20세기 & 동시대 미술 경매와 우리 시대의 예술가들: 동양과 서양의 대화 특별 이브닝 경매에는 한국 작품 총 38점을 포함한 아시아 근현대 미술 대가들의 작품 440여 점이 나온다. 경매 출품작은 25일과 26일 이틀 간 홍콩 컨벤션 센터에서 전시된다.

"4차 산업혁명 도움 받아 문화예술 직접 창작하는 시대 열린다"

[뉴스1] 박정환 | 2018.05.23

[인터뷰]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개최하는 양현미 교육진흥원장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교육진흥원)이 국민의 삶이 풍요로워지는 생활문화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이 제정돼 설립한 교육진흥원은 이 법안을 만드는 과정을 이끈 양현미 상명대 교수를 새 수장으로 맞아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다. 양현미 교육진흥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변화할 문화예술교육의 청사진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의미를 공유하기 위해 23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다. 양 원장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창성동 한 식당에서 기자를 만나 "문화예술교육은 4차 산업혁명을 맞아 개별 장르를 가르치는 현재의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학습자가 관람 등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혁신기술을 통해 낮아진 기술장벽을 뛰어넘어 문화예술을 직접 체험하고 창작하는 흐름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리공예의 사례를 거론하면서 4차 산업혁명이 문화예술교육의 학습과정이 바뀔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학습자가 유리공예를 배우려면 뜨거운 온도에서 달군 유리를 금속빨대에 매달아 입으로 부는 것부터 배워야 했다. 4차 산업혁명 시기가 도래하면 학습자는 유리공예품을 컴퓨터에서 디자인을 하고 이후 제작공정은 3D 프린터가 대신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행사는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살펴보면서 곧 다가올 미래를 공유하는 자리"라며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재생 랜드마크인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3차 산업혁명의 대명사인 석유를 비축했던 공간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콘텐츠인 '문화예술'의 미래를 살펴보는 상징성이 있다"고 말했다.

4차 산업혁명 맞아 문화예술교육 어떻게 바뀌나

[뉴스1] 박정환 | 2018.05.18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23~27일 개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문화예술교육의 방향과 의미를 공유하는 행사가 열린다. 2018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가 오는 23~27일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를 비롯한 곳곳에서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양현미)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국제심포지엄 및 시민 대상 체험 워크숍 등 풍성한 문화예술교육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로 7회째인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은 우리나라가 제안해 2011년 유네스코 총회에서 매년 5월 넷째 주를 공식 기념주간으로 지정했다. '4차 산업혁명,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을 주제로 한 국제 심포지엄은 개막일인 23일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다. 이 심포지엄에는 미국에서 활동하는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라미로 오소리오 폰세카 콜롬비아 초대 문화부 장관, 디지털 예술단체 팀랩의 다쿠야 다케이 예술감독 등이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모색한다. 24일부터 27일까지는 한국연극 교육학회 등 11개 학회가 문화비축기지, 서울교대 음악관 등에서 세미나를 열고 각 분야 문화예술교육 방향을 논의한다. 또한, '살고 싶은 집을 그리고 3D 프린터로 구현하기', '참여자 그림을 프로젝션 맵핑으로 표현하기', '동물 로봇 만들기' 등 시민 참여 프로그램도 총 44개가 펼쳐진다. 무료로 열리는 이번 행사의 상세 내용은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림미술관에 젊은 관람객 많이 오는 이유

[뉴시스] 박현주 | 2018.05.18

'Paper, Present'展 휴관일 없이 야간 개관 '후아유' 콘서트·깜짝 선물 이벤트도 펼쳐 서울 통의동 대림미술관 활기찬 전시 마케팅이 눈길을 끌고 있다. 전시기간에는 물론 막바지 전시를 앞두고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 관람객 발길을 모으고 있다. 전시 개막후 시들해지는 일반 전시와 달리 마지막까지 관람객 서비스에 박차를 가해 이례적이다. 친구와 연인, 젊은 관객들이 많이 찾는 이유기도 하다. 대림술관은 오는 27일 폐막하는 'Paper, Present: 너를 위한 선물'전을 앞두고 다양한 서비스를 펼친다.전시 마지막날인 27일까지 휴관일 없이 저녁 8시까지 특별 야간 개관하고, 콘서트와 워크숍, 이벤트를 즐길 수 있는 페어웰 위크를 마련한다. 먼저 오는 20일 ‘일요일은 미술관에서!’ 라는 컨셉으로 선데이 라이브(SUNDAY LIVE) 프로그램의 마지막 콘서트가 열린다. 잔잔한 목소리에 담긴 수줍은 소녀의 감성을 가진 뮤지션 ‘후아유’와 솔직하면서 담백한 가사로 마음을 다독이는 뮤지션 ‘노르웨이 숲’의 콘서트가 1, 2부로 나뉘어 진행되어 전시의 여운을 오래 간직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참여자들에게는 공연을 더욱 즐겁게 할 주류가 제공된다. 만 19세 이상 참여 할 수 있다. 24일 목요일 저녁에는 전시장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따스한 글귀의 주인공 이정현 작가와 함께 직접 시를 써보는 시간이 진행된다. 감성과 따스한 글귀, 이정현 작가와의 짧은 토크까지 마련되어 잊지 못할 문학의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시 마지막 주간인 21일부터 25일까지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깜짝 선물 같은 이벤트도 연다. 21일미술관 티켓 부스에서 ‘선물 왔습니다!’를 외치면 동반 1인까지 무료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전시 재 관람자 대상으로 구달 청귤 꿀 보습 크림을 매일 선착순 100명에게 증정할 예정이다. 'Paper, Present: 너를 위한 선물'전은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섬세한 감각과 아날로그적 소재인 종이가 감성적인 매체로 확장되는 과정을 소개한다. 바람, 별 빛, 햇살 등과 같은 자연 요소와 기억, 설렘과 같은 감정의 요소를 종이에 결합하여 구성한 일곱 개의 감각적 공간으로 선보인다. [email protected]

김환기, 김환기에 도전...'붉은 점화' 시작가 80억 경매

[뉴시스] 박현주 | 2018.05.17

서울옥션 홍콩경매 출품 27일 홍콩서 경매 뉴욕 시기 1972년작 254m×202m 대형 작품 65억5천만원 '푸른 점화' 가장 비싼 그림 1위 "100억까지 치고 갈수 있을까?" 김환기(1913-1974)가 김환기에 도전한다. 서울옥션이 27일 홍콩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여는 제25회 홍콩경매에 김환기 1972년작 '3-II-72 #220'이 출품됐다. 경매 시작가는 80억. 낙찰되면 한국 미술품 기록을 다시 세운다. 또 서울옥션은 '미술품 경매 최고 낙찰가 1위' 보유 기록도 갖게 된다. '국내 최고 비싼 그림' 1위는 경쟁사인 케이옥션이 갖고 있다. 지난해 4월 케이옥션 경매에서 푸른 점화 '고요(Tranquility) 5-Ⅳ-73 #310'가 65억5000만 원에 낙찰돼, 한국 작가 중 최고 가격의 경매 낙찰 레코드를 유지중이다. '김환기 열풍'은 2015년 10월부터였다. 서울옥션에서 연 홍콩경매에서 특유의 컬러인 ‘환기 블루’ 톤으로 제작된 '19-VII-71 #209'이 박수근,이중섭을 제치고 한화 약 47억원에 낙찰되면서다. 이후 ‘환기의 라이벌은 환기’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김환기 작품이 경매 레코드 기록을 잇달아 경신하며, 1위부터 5위까지가 한국에서 비싼 그림은 김환기 작품으로 기록했다. 최고가를 기록한 작품들은 ‘뉴욕시기’에 그려진 대형 사이즈의 ‘전면 점화’ 시리즈다. 이번 경매 출품작 또한 '뉴욕 시기' 작품이어서 더욱 주목되고 있다. 붉은색 전면 점화가 미술품 경매 시장에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II-72 #220'은 세로 254cm, 가로 202cm의 대형 화폭에 제작된 것으로, 화면 전반에 걸쳐 붉은색 점들이 채워져 있고,상단에는 푸른색의 점들이 삼각형 꼴을 이루고 있다. 김환기의 전면점화는 대체로 ‘환기 블루’라 일컬어 지는 푸른색의 색조를 보이기에 붉은 색의 사용이 희소한 것은 물론, 붉은색과 푸른색의 혼합 사용 구성은 더욱 눈길을 끈다. 이외에도 김환기의 작품은 3점이 더 출품된다. ‘신문 위에 유화’로 그린 'Untitled'가 경매 추정가 한화 기준 8000만~2억원, ‘종이 위에 유화’로 그린 'Untitled' 5000만~8000만원, ‘종이 위에 과슈와 펜’으로 그린 'Untitled'가 1800만~5000만원에 새주인을 찾고 있다. 한편 '서울옥션 25회 홍콩경매'에는 낮은 추정가 한화 기준 약 210억원, 총 64점을 경매에 부친다. [email protected]

도종환 "블랙리스트 책임권고안 검토해 연루자 징계·처벌한다"

[뉴스1] 박정환 | 2018.05.16

민간 주도 '문화비전 2030' 발표서 '적폐 청산 의지' 강조 "블랙리스트의 진상이 밝혀졌지만 아직 적폐를 청산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특히, (블랙리스트 연루자가) 적폐의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문제입니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가 빠르면 5월말에 사법처리와 징계가 필요한 연루자 명단을 문체부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6일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사람이 있는 문화 - 문화비전 2030'(이하 문화비전 2030) 발표에서 블랙리스트 관련 대국민 사과와 함께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블랙리스트 사태에 관해 공식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 장관은 "'블랙리스트 사태 조사결과에 따른 책임규명 권고안'을 사안별로 면밀히 검토해 사법처리하거나 징계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문체부와 산하기관에서 사법처리와 징계가 필요한 사람에게 그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며 "적폐가 과연 바뀌겠느냐는 문화예술계의 의구심을 알고 있지만 이 사항은 문재인 정부의 과제이자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블랙리스트 적폐 청산을 강조하기에 앞서 이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했다. 그는 "블랙리스트 사태는 수많은 문화예술인들을 국가 지원에서 배제하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해 국민들 마음에 깊은 상처와 아픔을 남겼다"며 "정부를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비전 2030과 새 예술정책의 취지에 관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문화비전 2030과 새 예술정책을 만들었다"며 "앞으로 국가폭력인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진상조사위에서 권고한 제도 개선안을 이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도종환 장관 "블랙리스트사태 사과"…‘사람 뒷전’문화정책 ‘NO’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 2018.05.16

문체부, ‘문화비전 2030’ 발표…자율성, 다양성, 창의성 3대 가치 내세워, 새 예술정책도 밑그림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세운 문화정책의 기조인 ‘사람이 있는 문화’는 ‘문화비전 2030’의 핵심 가치로 다시 강조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새 문화정책 준비단은 16일 서울 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사람이 있는 문화-문화비전 2030’(이하 문화비전 2030)을 발표했다. 지난해 12월 문화비전 기조에서 드러낸 자율성, 다양성, 창의성 등 3대 가치는 이번 비전에서 37개 주요 과제들로 구체화했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이날 비전 발표에 앞서 “인간은 누구나 감시받지 않을 권리, 검열 당하지 않을 권리, 차별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며 “국가가 지원에서 배제하고 자유를 억압하고 국민에 깊은 상처를 남긴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정부를 대표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도 장관은 이어 “우리가 추구하는 ‘사람이 있는 문화’는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실현될 수 있기에 불행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나갈 것”이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을 새로운 문화비전과 예술정책에 담았다”고 정책 수립 취지를 밝혔다. 문화비전 2030은 정부가 아닌 민간이 의제를 주도해 내용을 구성하고, 정부가 제안된 정책의 구체화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개인의 자율성 보장=개인의 문화적 삶을 추구하기 위한 사회적·제도적 토대를 구축하는 게 골자다. ①개인의 문화권리 확대를 위해 가족 친화형 ‘문화놀이터’를 조성하고, ‘첫걸음 문화카드’를 도입해 초등학생 입학생과 부모에게 문화비를 지원하는 등 친화 사회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한다. ②문화예술인·종사자의 지위와 권리 보장을 위해선 △예술가 지위, 권리 보호 관련 법률을 마련하고 △문화예술·체육인 복지 강화 등에 앞장선다. ③성평등 문화의 실현을 위해 △성차별·성폭력 없는 문화 생태계 조성 △여성친화적인 성평등 문화정책 실현 등을 확대한다.

'성 평등·남북교류' 등 새 요구 담았다…문화정책 '문화비전 2030'

[뉴스1] 박정환 | 2018.05.16

도종환 장관 '블랙리스트 사태' 정부 첫 대국민 사과 민간이 주도해 '성 평등 실현' '남북문화 교류' 등 새로운 요구를 담아낸 문화 정책 비전이 마련됐다. 그동안 각종 중장기 계획 수립 시 정부가 공식·비공식적으로 주도해왔던 사례와 차별화돼 주목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와 새 문화정책 준비단(단장 이동연)은 16일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사람이 있는 문화 - 문화비전 2030'(이하 문화비전 2030)을 발표했다. 아울러 문체부 산하 새 예술정책 수립 전담팀(TF)이 만든 예술정책 '사람이 있는 문화, 예술이 있는 삶'(이하 새 예술정책)도 함께 발표했다. 도종환 장관은 문화비전 2030과 새 예술정책 발표에 앞서 블랙리스트 실행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했다. 도 장관은 "블랙리스트 사태는 수많은 문화예술인을 국가 지원에서 배제하고 표현의 자유를 침해해 국민들 마음에 깊은 상처와 아픔을 남겼다"며 "정부를 대표해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진상조사위에서 권고한 제도 개선안을 이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문화비전 2030과 새 예술정책에 관해 "누구나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문화비전 2030과 새 예술정책을 만들었다"며 "최초로 민간이 주도해 내용을 채우고 정부가 지원하면서 완성한 정책비전"이라고 설명했다.

김환기 경매최고가 깰까…붉은 전면점화 80억부터 시작

[뉴스1] 여태경 | 2018.05.16

27일 열리는 서울옥션 홍콩세일에 처음 나와 한국 작가 중 최고 가격의 경매 낙찰가를 보유하고 있는 김환기의 붉은색 전면점화가 처음으로 경매시장에 나온다. 이 작품은 경매 시작가가 80억원이어서 낙찰될 경우 한국 미술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게 된다. 지금까지 최고가 작품은 지난해 4월 케이옥션 경매에서 65억5000만원에 낙찰된 김환기의 '고요 5-IV-73 #310'이다. 서울옥션은 27일 홍콩 완차이에서 열리는 '서울옥션 25회 홍콩세일'에서 김환기의 대형 사이즈 전면점화 등 총 4점이 출품됐다고 15일 밝혔다. 김환기가 1972년에 그린 '3-II-72 #220'은 세로 254cm, 가로 202cm의 대형 화폭에 제작된 것으로, 화면 전반에 걸쳐 붉은색 점들이 채워져 있고 상단에는 푸른색의 점들이 삼각형 꼴을 이루고 있는 매우 희소한 작품이다. 김환기의 전면점화는 대부분 '환기 블루'라 일컬어지는 푸른색의 색조를 띠고 있다.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이우환의 모든 시리즈를 망라하는 작품 8점도 출품됐다. 이번 경매에 출품된 '점으로부터 From Point'는 대형 화폭에 그려진 작품으로 경매 추정가는 한화 기준 14억5000만~20억원, '선으로부터 From Line'은 경매 추정가 한화 기준 16억5000만~22억원에 출품된다. 두 작품은 모두 개인이 소장한 것으로 20년 만에 시장에 공개된다. 이번 경매에는 일본, 미국 등 해외에 흩어졌던 우리 고미술품 8점이 출품된다. 특히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높이 45cm, 지름 46cm의 백자대호(달항아리)가 나와 국내 환수 여부도 관심이다. 일본의 개인 소장자가 출품한 백자대호의 경매 추정가는 한화 20억~30억원이다. 이밖에도 미국에 거주하는 컬렉터가 소장해 온 '요지연도'와 일본 교토에 소장돼 있었던 '백자청화귀학문호'(白磁靑畵龜鶴文壺)와 '백자청화소상팔경문병'(白磁靑畵瀟湘 八景文甁)도 새 주인을 찾는다. 서울옥션 25회 홍콩세일에는 낮은 추정가 한화 기준 약 210억원, 총 64점의 작품이 출품됐다. haru@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