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경매시장 24년간 1830배 성장...이우환·박서보·김환기·이배 강세 지난 24년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은 1830배 성장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와 아트프라이스(대표 고윤정)가 IMF(1998)시기에서 코로나19(2022)시대까지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추이를 분석한 결과로 전체 낙찰총액은 약 2조 5354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출품 작품은 30만4846점, 낙찰 작품 19만4044점이다. 지난 24년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은 1998년 약1.8억 원을 시작점으로 살펴볼 때, 고점은 2007년 약1859억 원, 2018년 약 2130억 원, 2021년 약3257억 원의 변동 추이를 보였다. 반면 저점은 2009년 약 659억 원, 2013년 약 724억 원, 2020년 약 1163억 원, 2022년 약 2361억 원 등이다.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 김영석 이사장은 “종합적으로 본다면,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성장세는 괄목할 만한 규모로 성장하고 있는 진행형으로 볼 수 있다"면서 다만 "일정 주기별 성장세를 가로막는 장애 요인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경매시장의 성장세를 급제동시킨 대표적인 3대 외부요인은 ①2008 리먼브라더스 사태, ②2019 COVID19 발발, ③2022 기준금리 인상 등이 꼽혔다. 경매가 처음 시작된 1998년 낙찰총액 1억8300만원을 시작점으로 보면, 10년 후인 2007년과 2008년 사이 유사 이래 가장 큰 폭인 10배 이상 급성장했다. 2008년 리먼 사태 이후에 침체기를 지속하던 중 2015년 국제시장에서 먼저 시작된 단색화 열풍에 힘입어 다시 전년도 대비 2배의 반등세를 보였다. 경매시장은 전 세계를 강타한 2019년 코로나 19 사태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2021년 4월 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평생 모은 미술품 2만3000여점을 공공기관에 기증한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신드롬’이 호재로 작용했다. 불황을 맞았던 이전과 가장 달라진 점은 미술품 유통소비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수요층의 확대와 잠재고객 증가 등이 꼽혔다. 박현주 2023-01-20 뉴시스
"사악하기에 사로잡힌다" 박기웅x서울스카이 '48VILLAINS' #빌런 TV 드라마나 영화, 뮤지컬 등 대중 예술 작품에서 '주인공'의 대척점에 있는 존재가 '악역'(惡役)이다. 물론 작가가 밑바탕을 잘 그리고, 연출자가 그럴듯하게 판을 깔면 그 위에서 배우가 연기로 훌륭하게 표현해내는 게 전제 조건이긴 해도 많은 악역은 우리 기억 속에 강렬하게 자리 잡는다. '선역'(善役)이라고 할 수 있는 주인공(할리우드 영화 '조커'처럼 일부 악역이 주인공인 작품도 있지만)보다도 더 그렇다. 이것도 일종의 '스톡홀름 증후군'(Stockholm syndrome)이 아닐까 싶다.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일어난 은행강도 사건에서 인질들이 인질범에 대해 분노나 증오가 아닌 공감과 동조를 했던 것처럼 악역을 욕하면서 그들을 사랑하게 되고 마는 상황이 연출된다. 그래서 언젠가부터 우리는 그런 악역을 할리우드가 있는 미국처럼 '빌런'(Villain)이라고 일컫기 시작했다. 매력적인 악역에게 바치는 일종의 '헌사'인 셈이다. #배우 박기웅 2005년 영화 '괴담'으로 데뷔한 박기웅은 2006년 휴대폰 '스카이' CF에서 보여준 일명 '맷돌 춤'으로 스타덤에 올랐다. 이후 여러 작품에서 다양한 캐릭터를 열연했지만, 사실 그를 대중에게 '배우'로 각인한 것들은 악역이다. 2010년 KBS 2TV '추노'의 '그분', 2011년 영화 '최종병기 활'의 '도르곤', 2012년 KBS 2TV '각시탈'의 '기무라 슌지', 2016년 MBC TV '몬스터'의 '도건우' 등 나쁘거나 섬뜩하거나 무서운 빌런으로 사랑받았다. #작가 박기웅 박기웅은 '미대 오빠'로 불린다. 과거 한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대진대)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한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얻게 된 애칭이다. 연기에 매진하느라 그림은 많이 그리지 못했다. 그러나 아예 붓을 놓지는 않았다. 다만 본격적으로 전시를 하기보다 SNS를 통해 팬들에게 작품을 살짝 보여주는 정도였다. 그러다 2021년 3월 서울 강남의 한 명품 편집숍에서 오픈 기념 컬래버 전시를 한 것을 계기로 국내외에서 다채로운 전시를 펼쳐 작가로서도 커리어를 쌓아왔다. 김정환 2023-01-30 뉴시스
'RM이 열혈팬' 윤형근 파리 개인전 성황…첫날 1000명 북적 방탄소년단 리더 RM이 좋아하는 작품으로도 유명한 故 윤형근 화백(1928~2007)의 작품이 프랑스 파리에서 주목 받고 있다. (윤화백 열혈팬임을 밝힌 RM은 지난해 연말 발표한 솔로 앨범 '인디고'에 대해 "출발점은 윤형근의 그림이었다"며 윤 화백의 '청색 회화'를 배경으로 한 사진을 공개한 바 있다.) 박현주 2023-01-13 뉴시스
윤범모 MMCA 관장 “갑질 단어 없는 미술관 만들겠다" "문체부 지적, 열심히 하라는 채찍과 격려로 알겠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이 10일 열린 ‘2023년 전시 및 중점사업 공개’ 기자간담회에서 전날 발표된 문화체육관광부의 자체 특별감사 결과에 대해 "미술관 혁신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윤 관장은 “지금 각 부서에서 감사 결과 검토를 시작했고 종합 검토내용을 바탕으로 개선할 것은 개선하고 재심의를 요구할 것이 있으면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감사 내용은 언론을 보고 결과가 있다는 것을 알 정도로 제가 아직 숙지를 못했다"고 했다. 문체부는 지난 9일 MMCA에서 16건의 위법 및 부당 행위가 적발됐다며 MMCA에 대한 특별감사 결과를 이례적으로 공개해 주목됐다. 직장 내 갑질과 국고환수금의 직원 격려금으로 3000여만 원을 직원 격려금으로 전용했고, 절차를 무시한 임의적 소장품 구입 등을 했다는 내용이다. 윤 관장은 ‘기관장으로 직무를 소홀히 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부서장들의 '갑질'을 인지하고도 방관했다는 지적에 대해 윤 관장은 “일을 많이 하다 보니 이런 부작용이 나왔는데 갑질 단어가 없는 미술관을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미술관 소장품 구매 과정에서 전문가가 매긴 값과 다르게 구매가를 조정했다는 감사 결과에 대해 “가치평가위원회의 평가액은 대체로 빡빡하게 정해지는 편”이라면서 “매도자가 제시하는 가격과 (구매액이) 너무 멀어지면 매매가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문체부 감사 결과에서 언급된 테레시타 페르난데즈의 작품은 평가액과 매도자의 희망가가 워낙 차이가 나서 아예 구매도 하지 못했다고 했다. 문체부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립현대미술관은 테레시타 페르난데즈의 '어두운 땅(우주)' 등 7점의 작품을 가치평가위의 저평가에도 불구하고 최고 5000만 원까지 상향 조정하고, 미야지마 타츠오의 '카운터 갭'은 고평가에도 불구하고 1000만 원을 하향조정했다. 작품 구입시 외부 전문가를 근거없이 2021년 50여명에서 11명으로 줄였다는 지적에 “코로나19 상황도 있었고, 실질적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수 개월째 공석인 학예실장 문제는 기존 내정자를 곧 임명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윤 관장은 “학예실장은 공모로 진행된다. 관장의 의지나 의사는 개입할 수 없다"면서 “행정 절차가 마무리된 만큼 곧 매듭지어질 것”이라고전했다. 미술관은 지난해 여름부터 학예실장 공모를 진행했으나, 최종 합격자가 음주운전 중징계 처분 및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사혁신처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 된 사실이 밝혀져 무산 된 바 있다. 2019년 취임한 윤 관장은 문재인 정부 말기인 지난해 2월25일 재임명됐다. 임기는 2025년까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박현주 2023-01-10 뉴시스
국립중앙박물관 '합스부르크 600년展', 네이버TV서 내일 중계 국립중앙박물관은 특별전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을 27일 오후 7시 네이버TV에서 중계한다고 밝혔다. 오는 3월 1일까지 열리는 이 전시는 중앙박물관이 오스트리아 빈미술사박물관과 함께 기획했다. 합스부르크 왕가가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수집한 예술품 96점을 선보인다. 방송 해설은 전시를 담당한 양승미 학예연구사가 배우 강훈과 함께 진행한다. 방송 중 전시에 대한 질문을 받아 학예사가 실시간 댓글로 답변할 예정이다. 이번 방송이 끝난 뒤에 한 번 더 중계를 하며, 이후에는 다시보기로 볼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신효령 2023-01-27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