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Episode미술관·박물관 이용률 5년 내 16%→30%로 확대

2019.06.25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 Pinterest

문체부,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 발표…1개관 당 4만5000명에서 3만 9000명 수준으로

© 국립현대미술관

최근 5년간 박물관·미술관의 수는 2013년 911개에서 2018년 1124개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1개관 당 인구수 기준으로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가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해 2019년 1개관당 인구수 4만 5000명에서 2023년까지 3만 9000명 수준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계획으로 박물관은 1013개, 미술관은 297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민이 일상에서 더욱 가까이 찾는, 내실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만들기 위해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을 24일 발표했다.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박물관·미술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100명당 16.5명에 불과했다. 이용률은 16.5%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이를 2023년까지 30% 수준으로 높여 더 많은 사람이 일상에서 박물관·미술관을 찾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문화로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박물관·미술관’을 비전으로 △공공성 강화 △전문성 심화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3대 목표 아래 5개 전략과 16개 핵심과제로 구성됐다.

현재 제1종 박물관은 분야별 소장품과 학예인력 여부에 따라 종합박물관과 전문박물관으로 나뉘어 있는데 구분의 경계가 모호하고 실효성 또한 적다는 지적이 제기돼 종합-전문 박물관의 구분을 없애고 일원화를 추진한다.

또 동물원, 수족관 등 다른 법률에 규정된 시설과 ‘문화의 집’과 같이 박물관으로서 기능이 약화된 시설은 박물관에서 제외하는 등 박물관 유형을 간소화한다.

학예사 자격증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격증 취득요건이 되는 근무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대상기관(경력인정대상기관)을 확대하고, 학예사 자격증과 국공립기관 채용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한편 오는 7월 1일부터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도 시행돼 국민의 박물관·미술관 이용 활성화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사전평가 대상도 공립 박물관·미술관에서 국립 박물관·미술관까지 확대한다. 지자체 대상으로는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살린 콘텐츠 개발을 위해 ‘지역특화 박물관·미술관’ 조성을 지원한다.

기존 박물관 위주의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공·사립 미술관 소장품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편하고, 소장품 등록인력 지원을 미술관까지 확대한다.

국립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을 이용한 ‘실감형 콘텐츠 체험관’을 조성하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전시안내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박물관·미술관’을 구축한다.

박물관·미술관 주간행사를 전국 단위로 확대하고 ‘박물관·미술관 협력 활성화 포럼’ 등을 통해 박물관과 미술관 간의 상호 협력망도 구축할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전국의 박물관·미술관이 우리 국민에게 더욱 자주 찾고 싶은 친근하고 유익한 문화시설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물관·미술관 2004~2018 증가추이.

[email protected]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