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People첫 외국인 국립현대미술관장 "어떤 검열도 반대한다"(상보)

2015.12.14

[뉴스1] 박정환

  • 페이스북
  • 구글플러스
  • Pinterest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이 1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문체부 © News1

국립현대미술관 역사상 첫 외국인 관장으로 임명된 바르토메우 마리 리바스(Bartomeu Mari Ribas·49)는 14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떤 검열도 반대하며 정치적 자유를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마리 관장은 또 "지난 30년간 전세계에서 쌓은 미술경험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펼치겠다"며 "관장겸 큐레이터로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관객에게 선보일 것이며, 다양한 교육도 함께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마리 관장의 기자회견 발표 내용 전문이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 신임 관장으로 취임해서 여러분을 이렇게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우선, 제가 감사할 분들이 좀 있는데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게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렇게 저를 임용해 주시고 저를 믿어 주신 것에 대해서 감사를 드리고 싶고요. 또,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일하는 많은 분들이 저를 따뜻하게 환영을 해주셨는데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10년 전부터 한국을 정기적으로 오고 있고요. 또 한국에 와서 많은 전시도 가보고 한국 미술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접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또 미국이나 유럽에서 개최되는 한국 미술가들, 작가들의 전시회도 가봤습니다.

제가 감히 한국 미술에 대한 전문가라고는 말씀을 드리지는 못하지만 한국 작가들의 열렬한 팬이고,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이 신임 관장으로 취임한 게 큰 영광입니다. 그리고 또 한국의 여러 세대 작가들의 수준 높은 작품에 대해서 많은 관심이 있고 또 매료가 되었습니다.

제가 2010년에 국립현대미술관하고 인연이 맺어졌었는데요. 그 당시에 현대미술관에서 한-스페인 수교 60주년 기념 소장품 전시가 과천관에서 있었습니다. 그리고 난 다음에 제가 국립미술관 두 군데 관을 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서울에 도착한 지가 얼마 안돼서 이 자리에서 제가 국립미술관에 대한 세부 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린다는 것은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가 직무수행계획서를 작성했을 때 제가 쓴 내용들을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하고 나누고 싶습니다.

첫 번째로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30년 동안의 미술 제도 안에서의 제 경험을 제가 한국에 가져온다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저는 미술 비평가, 큐레이터, 교육자, 뮤지엄 관장 또 설치 작업도 제가 직접 해봤습니다. 제가 설치 작업을 하면서 벽 페인팅 하는 일까지도 해봤거든요. 그래서 이런 저의 30년 동안의 경험을 제가 한국에 가져오는 것이고, 또 25년 동안에 다양한 미술기관에서 제가 활동한 경험을 제가 또 가져온다고 보고 있습니다. 유럽, 미국, 남미, 아시아에 있는 다양한 기관에서 제가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또 저는 아주 견고한 국제적인, 글로벌한 네트워크 관계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세계의 유수한 많은 작가들, 큐레이터들, 비평가들, 컬렉터들, 후원자들하고 제가 아주 두터운 인맥을 쌓고 있기 때문에 국립현대미술관에 이러한 네트워크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또한, 저는 콘텐츠에 집중하는 관장의 비전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관장 겸 큐레이터라고 저는 제 자신을 보고 있습니다. 저는 직접 많은 작가들과 작업을 하면서 그들과 바로 옆에서 같은 활동을 아주 활발히 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국제미술컨텍스터에서 지역 메레티브를 아주 잘 부각시킨다고 알고 있습니다. 지난 7~10년 동안 이러한 전문적인 노하우를 축적했는데요. 어떻게 보면 요즘 미술관의 입장에서는 이렇게 해야 되는 것이 하나의 의무사항이 되었죠. 그러니까 한편으로는 그 미술관의 특수성,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글로벌한 차원에서 많은 다른 나라와 지역과 또 기관들과 대화를 끊임없이 이어나가야 됩니다.

다음에는 2016년에서 2018년 동안 제 3년 동안의 재임기간 중 제가 달성하고 싶은 성과와 목표를 발표하겠습니다.

우선, 가장 우선적으로 제가 할 일이 주요 미술관으로서 국립현대미술관의 국제적인 역량을 강화시키고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이미 한국의 작가들이 직접 시작했다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한국의 작가와 예술가들이 국제무대에서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을 시켜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현지의 크리에이티브한 작가들의 도움으로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의 어떤 명성과 평판이 만들어지고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저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3년 동안에 우리 현대미술관은 최대한 프로그램을 강화시켜서 일반 관람객과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우리는 선사하고 싶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하나의 정체성이 형성이 될 것인데요. 저는 이 미술관이 생산자로 보고 있습니다. 단지 컨테이너가 아닌 생산자로서의 미술관을 저는 구축하고 싶습니다.

또 연구에도 저는 집중을 할 것입니다. 사실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에서 학계와 계속 연구에 집중할 것이고요. 비단 한국의 우수한 연구기관뿐만 아니라 외국의 연구기관과도 함께 협력을 할 것입니다.

또한 국제적인 출판물을 생산하고 배포를 할 것인데요. 이렇게 되면서 학술기관들과 또 국제적으로 우리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술관을 둘러싼 창조적인 예술조직과 구성원들 사이의 어떤 관계를 조금 더 심화된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할 것입니다. 저는 이 미술관의 관람객이나 이용자들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우리의 콘텐츠를 봐 주는 분들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우리의 작품 활동에 참여해 주는 주체라고 보고 있습니다.

또, 교육을 하는 미술관이 되고 싶습니다.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교육을 하는 미술관이 되고 싶고요. 교육이라는 것은 이용자들에게 ´이렇게 생각해라´, ´이렇게 해라´고 절대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싶고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뜻이 되겠죠. 요즘 모든 미술관은 이렇게 일을 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치와 약속이 따라야 됩니다. 그래서 제가 여러분들에게 약속할 수 있는 것은 우선 저는 어떠한 검열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입장이며, 표현의 자유를 지키고 보장을 해줄 것입니다. 사실 이런 것이 없이는 우리가 작업을 하고 일을 할 수 없고 예술가들과 활동을 할 때는 더욱더 그렇습니다.

저는 언제나 예술가들 옆에 동반자들처럼 일을 했었고요. 앞으로도 그렇게 활동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상생 없이는 우리가 예술적인 활동을 할 수가 없죠. 그리고 이게 저의 강점이라고 봅니다. 항상 동반자처럼 작가들과 상생을 한 덕분에 뛰어난 작품들, 뛰어난 답론들, 뛰어난 경험들이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또한 의견 차이를 인정하는 것은 근현대미술의 자연스러운 속성이라고 정말 생각을 합니다. 이것이 살아있어야만 실질적인 근현대미술이 존립하고 존재할 수 있습니다.


박정환 기자(art@)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