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2,667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10억짜리 도자기 ‘백자청화산수문육각주자’ 경매

[뉴시스] 유상우 기자 | 2015.03.02

미술품 경매사 서울옥션이 올해 첫 메이저경매를 고미술을 중심으로 펼친다. 3월 9일 오후 4시 서울옥션 평창동 본사에서 여는 ‘제135회 미술품 경매’에 ‘백자청화산수문육각주자’와 ‘조선 후기 회화대전’ 섹션을 마련해 조선 후기와 말기의 대표 화가 16명의 작품 22점을 낸다. 겸재 정선부터 현재 심사정, 단원 김홍도, 오원 장승업에 이르기까지 한국 회화사에서 중요한 작가들의 작품들이 출품된다. 주목되는 작품은 육각 면에 그려진 산수가 눈길을 끄는 도자기 ‘백자청화산수문육각주자’다. 육각 면에 그려진 산수문은 조선 후기 중국의 남종화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선비사회에서 널리 유행했던 문양이다. 이를 통해 선비들이 술이나 차를 마시는 풍류를 즐기기 위한 도구였음을 알 수 있다. 추정가는 10억원에 책정됐다. 굵직하고 대담한 필치와 공간 운용이 돋보이는 김홍도의 ‘노매함춘’도 있다. 화폭 한가득 매화 가지가 꺾여 있는 모습이 인상적인 단원의 만년작이다. 화면 우측에는 단구(丹丘)라는 단원의 호가 적혀있고 자필의 제시가 있다. 추정가는 4500만~1억원이다. 18세기를 대표하는 심사정의 작품으로 산수 인물도, 초충도, 지두화 등 5점이 나온다. 이 가운데 우뚝 솟은 바위산의 기암괴석, 봉우리에서 쏟아지는 폭포와 절묘하게 걸쳐진 수묵들이 절경을 이루는 ‘촉잔도’가 눈길을 끈다. 현재 8m에 달하는 간송미술관 소장의 ‘촉잔도권’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번 출품작은 이 작품의 한 부분을 변형시켜 소품으로 만들었다. 추정가는 4000만~8000만원이다. 넘치는 기운이 생동하는 ‘지두선인도’(3500만~1억원), 남종화법을 조선화시킨 전형적인 현재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미법산수도’(1200만~3000만원), 화첩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이는 초충도 ‘백합과 여치’와 ‘장미와 나비’(2점, 1400만~3000만원) 등도 만날 수 있다. 소당 이재관이 그림을 그리고 우봉 조희룡과 대산 강진이 제를 쓴 ‘월계탁금’은 2억~3억원에 출품된다. 소당의 그림과 우봉, 대산의 글이 함께 전해지고 있는 작품은 총 6폭으로 모두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정선의 ‘중대폭’(5000만~1억5000만원), 오원 장승업의 ‘송하선인도’(800만~1500만원)와 ‘화조도’(600만~1500만원), 소정 변관식의 ‘사계산수도’(3000만~5000만원)를 비롯해 청전 이상범, 운보 김기창의 산수화 등이 경매된다.

올해 '미술계' 이끌 유망주는?…'아트1' 22일까지 작가 모집

[머니투데이] 양승희 기자 | 2015.02.17

국내 활동중인 작가면 누구나, 회화·사진·디자인 등 장르 불문…홍보부터 전시개최까지 후원 미술계의 전도유망한 중견 작가와 숨어있는 젊은 작가를 소개하고 후원하는 종합 미술사이트 '아트1(www.art1.com)'에서 오는 22일까지 작가를 모집한다. '2015 아트1'에 선정된 작가는 홈페이지에 등록돼 작품거래 및 렌탈서비스에 포스팅된다. 이중 일부 작가는 정기적인 온·오프라인 전시를 후원받고, 홍보 프로모션의 기회도 얻게 된다. 특히 아트1은 기존의 관행적인 작품수수료 정책을 과감히 탈피해 작가위주의 수수료 정책으로 작가후원에 앞장선다. 신청자격은 학력·나이·성별 구분 없이 국내 활동 중인 작가는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온라인 작품 판매 및 렌탈에 제약이 없는 작품이면 회화, 사진, 디자인, 판화, 조각, 영상, 설치 등 장르 구분 없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웹하드(webhard.co.kr)에 접속한 뒤 아이디·비밀번호(art1com)로 로그인해 개인 프로필 및 사진, 작품 이미지 5~10점, 작가 노트 및 작업계획서 등을 첨부해 올리면 된다. '아트1'은 미술 작품 감상 및 구매를 할 수 있는 아트 플랫폼으로, 국내외 미술뉴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작가, 전시, 작품 및 행사소식 등을 전한다. (문의 02-767-6846~7.)

서울옥션, 매년 20% 이상 외형성장 예상-하나대투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 2015.02.13

하나대투증권은 13일 서울옥션 (6,320원 보합0 0.0%)에 대해 주력사업인 경매 매출액 확대로 해마다 20% 이상의 꾸준한 외형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6900원을 유지했다. 서울옥션은 지난 4분기 매출액 125억원, 영업이익 34억원으로 호실적을 시현했다. 각각 전년대비 109.5%, 60.4% 증가한 수준이다. 이정기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매출액은 지난해 11월 홍콩경매 관련 매출액 25억원과 상품매출 30억원이 반영되면서 확대됐다"며 "영업이익도 주력사업인 경매 수수료 금액 증가와 자회사 홍콩법인 흑자전환으로 전년대비 대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호실적을 예상했다. 이 연구원은 "국내 경매시장 확대 본격화로 올해 실적도 좋을 것"이라며 "올해 매출액 299억원, 영업이익 92억원의 견조한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지난해 국내 경매시장이 증가세로 전환했으며 미술품의 대체투자 인식이 확대되는 등 경매시장이 본격적인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며 "이처럼 시장이 확대되는 것은 서울옥션에 가장 유리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해외에서 저평가 받았던 한국 단색화 작품이 재조명되면서 서울 옥션의 해외경매 컨텐츠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며 "정부의 미술시장 활성화 정책으로 국내 경매시장 확대도 예상된다"고 밝혔다

예술자료원 지난해 예술자료 '1만 6천점' 기증 받아

[뉴시스] 이창우 기자 | 2015.02.12

한국 최초 전문 무대미술가 스케치 원본 54점 포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산하 아르코(ARKO)예술자료원이 지난 한 해 연극, 음악, 시각 등 다양한 분야의 개인 예술가와 단체로부터 희귀자료 등을 포함, 1만6000여 점에 달하는 방대한 예술자료를 기증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중에는 행위예술가 무세중씨가 기증한 한국 최초의 전문 무대미술가 원우전(1903-몰년 미상)의 1930-1950년대 무렴의 연극 무대스케치 원본 54점이 포함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자료는 현존하는 유일본으로 원우전의 무대 미술세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연극사 연구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술원은 기대하고 있다. 자료원은 12일 자료 연구와 전시를 위해 오는 5월 한국연극학회와 공동 학술대회도 개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개인 예술가 등이 기증한 자료 중, 수량이 가장 많은 자료는 연극평론가 故한상철씨의 연극 관련 국내외 단행본과 대본, 프로그램 등의 자료 1만 여건이 차지했다. 작곡가 故 김용진의 1300여건에 달하는 악보 원본과 음악 자료는 두 번째로 많은 자료로 집계됐다. 구술 채록 대상자들인 화가 박서보(1931년), 작곡가 이영자(1931년), 디자이너 한도룡(1931년), 작곡가 백병동(1936년), 연출가 안민수(1940년), 무용가 김매자(1943년)씨 등으로부터는 한국 근현대 예술 풍경과 창작과정을 조명할 수 있는 사진, 육필원고, 악보 등이 포함된 3300건의 자료도 기증받았다. 특히 박서보 화백은 60년 화단 활동사를 증빙하는 스크랩북, 사진, 도록 등 자료 2600여 건을 기증해 눈길을 끌고 있다. 확보된 자료 중에는 예술위가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사업 결과물로 수집한 889건의 자료도 포함돼 있다. 예술자료원 관계자는 "올해도 자료의 체계적 이관과 보존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며 "희귀자료 발굴과 예술자료 보존에 대한 중요성을 확산시키기 위해 자료 기증 캠페인을 연중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예술자료 기증 문의는 자료원(02-524-9414)으로 하면 된다.

대구미술관, 10일부터 새해 첫 특별전 개최

[뉴시스] 김태규 기자 | 2015.02.09

대구미술관(관장 김선희)이 '이수경, 내가 너였을 때', '하정웅 컬렉션 특선전, 위대한 유산', '오트마 희얼, 뒤러를 위한 오마주' 3개의 특별전을 준비했다. 2015년 새해 첫 전시다. '이수경, 내가 너였을 때'는 오는 10일부터 5월17일까지 1전시실과 어미홀 일부에서 열린다. '하정웅 컬렉션 특선전'은 5월10일까지 2·3·4·5 전시실에서 나뉘어 전시된다. '오트마 회얼전'은 12월6일까지 야외 공원에서 볼 수 있다. '이수경, 내가 너였을 때'는 국내·외에서 열정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가를 조명하고 동시대 미술의 양상과 흐름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된 전시다. 이수경(51) 작가는 조각·회화·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전통적인 소재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내가 너였을 때','번역된 도자기', '천 千', '전생퇴행그림' 등이 있다. 오사카 출신의 재일교포 하정웅(76) 작가는 '하정웅 컬렉션 특선전, 위대한 유산'을 전시한다. 그는 가난한 이주노동자의 신분을 딛고 끈기와 노력으로 자수성가한 메세나 운동가로 꼽힌다. 이번 하정웅 컬렉션은 사회·정치적으로 소외받는 사람들과 현대사 속에서 억울하게 희생된 사람들을 애도하는 기도의 의미를 지닌 미술품을 중심으로 구성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시대와 인간의 삶을 기록한 '역사적 증언으로서의 미술', 사랑과 평화를 향해 메시지를 보내는 '행복을 주는 미술', 역사 속에 억울하게 희생된 사람들을 애도하는 '기도의 미술'이라는 3가지 주제로 마련됐다. '오트마 회얼, 뒤러를 위한 오마주'는 해외 교류전의 일환으로 독일 작가 오트마 회얼의 개인전을 그대로 옮겨온 전시다. 회얼은 미술관이나 갤러리라는 전형적인 전시공간을 벗어나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개방된 공간에서의 작품을 전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독일 뉘른베르크 광장에 7000 개의 조각을 설치했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것을 그대로 대구미술관 야외 공원에 옮겨놓을 예정이다. 김선희 관장은 "2015년 첫 전시를 아주 풍성하게 준비했다"면서 "특히 하정웅 컬렉션 등을 통해 지역 미술품 수집과 기증 문화를 성숙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입장료는 성인 1000원, 초등학생·청소년·군인은 700원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대구미술관(053-790-3000)에 문의하면 된다.

서울옥션, 2015 첫 경매 낙찰률 77%·13억6000만원

[뉴시스] 유상우 기자 | 2015.01.29

미술품 경매사 서울옥션의 올해 첫 경매 ‘마이 퍼스트 컬렉션(My First Collection)’이 낙찰률 77%를 올렸다. 낙찰총액은 13억6000만원이다. 초보 컬렉터들을 위해 마련된 이번 경매에서는 500만원 이하의 중저가 미술품들이 주목받았다. 낙찰 작품 가운데 50%(62점)가 500만원 이하에서 팔렸다. 이는 지난해 열린 같은 경매보다 두 배가량 증가한 수치다. 국내 작가의 소품 가운데는 올해로 작고 10주년을 맞은 이대원의 ‘나무’가 3200만원, 백남준의 ‘무제’가 2400만원에 거래됐다. 이영학의 조각 ‘무제’(330만원), 사석원의 ‘비단길-당나귀와 닭’(300만원), 김덕기의 ‘즐거운 식탁’(250만원) 등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박서보, 윤형근, 정상화 등 한국 단색화 작가들의 작품은 대부분 경합 끝에 낙찰됐다. 박서보의 ‘묘법 No.25-75’가 시작가 1300만원부터 시작해 100만원씩 호가하며 5500만원에 거래됐다. 윤형근의 100호 크기 ‘엄버 7’은 6500만원부터 시작해 9300만원, 정상화의 ‘무제 81-5’는 7500만원에 시작해 1억 4000만원에 팔렸다. 고미술품은 희소가치가 높은 작품들이 경합을 일으켰다. 시미즈 도운의 ‘최제우, 최시형 참형도’가 180만원부터 시작해 10만원씩 호가하며 1850만원에 경매됐다. 민화 호피도는 900만원부터 시작해 3800만원, 민화 호접도는 450만원에 시작해 2100만원이었다. 외국 작가들은 앤디 워홀의 ‘달러사인’이 7000만원,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판화가 3200만원, 키스 해링의 판화가 1300만원에 나갔다. 기대를 모았던 장욱진의 1973년 자화상(추정가 1억8000만~2억5000만원)은 유찰됐다.

예술의전당 · 태광그룹 국보․보물급 ‘한국서예명적’ 1차분 총 5권 완간, 세미나 개최

[예술의전당] 아트1 | 2015.01.14

1월 16일(금) 태광그룹 일주·선화갤러리에서 세미나 개최 2014년, 예술의전당과 태광그룹은 문화재청 후원으로 <한국서예명적(韓國書藝名蹟)> 1차분 5권을 완간하였다. 2016년까지 매년 5권씩 총 15권이 발간된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한국 서예의 아름다움과 인문학적 위상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이번 발간을 기념하여 2015년 1월 16일(금)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서울 종로구 흥국생명빌딩 3층 일주‧선화갤러리에서 <전통이 미래다>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명적 발간과 특별전 기획과 작품제작에 참여한 서예사학자, 큐레이터, 전문작가들이 모여 한국서예의 미래상에 대해 논한다. 이완우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 이동국 수석큐레이터(예술의전당), 김양동, 박원규, 박용설, 김종원 작가 등이 참여하며, 일반인도 자유롭게 참석할 수 있다. 예술의전당과 태광그룹은 이번 발간 사업을 통해 서예가 21세기 우리문화예술의 핵심으로 다시 역할을 수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세미나 개요 - 일시 : 1월 16일(금) 오후 2시 ~ 5시 - 장소 : 서울 종로구 흥국생명빌딩 3층 일주‧선화갤러리 * 별첨 - 한국서예명적 개요 <한국서예명적> 1차분 5권은 ▲고구려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비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碑>(414년, 탑본 30.4×18.2cm×10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통일신라 김생金生,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명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銘>(954년 집자集字, 탑본 34.2×21.2㎝,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탑본 22.4×12.5㎝×5면, 개인소장) ▲고려 이암李嵒(1297~1364) <문수사장경비文殊寺施藏經碑>(1327년, 탑본 33.7×22.2㎝,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봉하시奉賀詩 등>(탑본 33.5×24㎝, 《해동명적海東名迹》 상첩,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418호, 소수박물관 소장) ▲조선 이황李滉(1501~1570) 《퇴도선생필법退陶先生筆法》(1555년 6월, 종이에 먹 57.5×33.5㎝, 보물 제548-1호, 권기철 소장(한국국학진흥원 보관) ▲조선 윤순尹淳(1680~1741)《고시서축古詩書軸》(1737년 3월, 견본묵서 45.2×404.5㎝, 보물 제1676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광개토대왕비>는 웅혼(雄渾)고박(古朴)한 고대서예미학의 정수다. 김생 <낭공대사탑비 전유암산가서>는 화엄불국의 원융무애(圓融無碍)한 정신을 그대로 담고 있다면 고려 이암의 <문수사장경비․봉하시 등>은 송설체를 독자적으로 미감으로 유려(流麗)하게 해석해 내고 있다. 조선 이황의 <퇴도선생필법>은 도학자의 전형답게 엄정(嚴正)단아(端雅)하다면 다 같은 조선이라도 윤순의 <고시서축>은 진경시대 미학을 변화(變化)가 심한 개성적인 필법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야말로 서(書)가 증언하는 시대별 우리미학과 정신의 궤적이다. <한국서예명적(韓國書藝名蹟)>은 태광그룹이 3억원을 지원해 2016년도까지 3차에 걸쳐 1차로 발간된 고구려 <광개토대왕비>를 시작으로, 신라 <진흥왕순수비>, 백제 <무령왕릉지석>, 조선 안평대군 이용, 석봉 한호, 추사 김정희 등 국보급 서예 유물의 서체를 총 15권의 서예명적으로 발간하고 전시할 계획이다. 한편 2015년도 2차분은 ▲백제 <무령왕릉지석武寧王陵誌石> <창왕사리감명昌王舍利龕銘>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 ▲통일신라 최치원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 ▲고려 탄연 <청평산문수원기淸平山文殊院記> ▲조선 한호 <석봉진적첩石峯眞蹟帖> ▲조선 이광사 <화기畵記 원교법첩員嶠法帖>이 발간될 예정이다. <한국서예명적> 발간사업은 2013년 태광그룹 창립 63주년을 기념해 예술의전당과 손잡고 국내 최초로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등 우리나라 서예역사에 등장하는 국보․보물급 필적(筆跡)을 원작 감동 그대로 담아내는 수준으로 제작해 서예학습교과서를 집대성해 내고자 착수한 일이다. 그간 근현대 한국서예교육은 주로 일본에서 만들어진 중국필적의 법첩(法帖)을 교과서로 삼아왔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면 이번 <한국서예명적> 발간사업은 우리글씨미학의 정체성(正體性)을 바로세우는 역사적인 계기를 근 100년 만에 마련한 것이다. 태광 관계자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20세기 초반부터 자국의 서예 유물을 법첩으로 제작하는 사업을 시작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국보․보물급 서예 유물조차 정리해놓은 법첩이 없었다”며 사업의 취지를 설명했다. 또 “이번 사업은 국내 최초로 국보 및 보물급 서체를 시대별, 인물별로 개별 출간해 집대성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태광 측은 “대한민국 대표 메세나(기업이 문화예술활동에 자금이나 시설을 지원하는 활동) 기업'으로 평가 받는 태광이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법첩이란 '옛 사람들의 유명한 필적을 익히거나 감상할 목적으로 만든 책'을 의미한다. 사실 한국서예역사를 대표하는 필적은 중국과 일본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시대와 사람에 따라 많다. 그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는 1988년 개관이래 지금까지 27년간 30여회에 걸친 ‘한국서예사특별전’ 시리즈를 통해 이러한 우리서예 역사자료를 발굴 연구 정리해왔다. 이런 성과를 토대로 태광그룹의 자금지원에 힘입어 그간 사회적으로 등한시해온 서예를 통해 우리예술과 정신문화의 본자리를 행동으로 찾아낸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더하고 있다. 한편 1차분 5권 <한국서예명적>은 주요 국공립도서관 등에 무료로 비치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한학(漢學) 및 서예교육 교재는 물론 일반인들이 우리 글씨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감상하는 계기를 만들어 글씨의 대중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별도로 <한국서예명적(韓國書藝名蹟)> 발간사업과 연계하여 지난 년 말에는 1차분 5권을 텍스트로 김양동, 박원규, 권창륜, 김종원 등 한국을 대표하는 현대작가 15명이 독자적 관점으로 재해석해낸 특별전 <전통이 미래다 : 한국서예명적 발간 기념전>(2014.10.30 - 12.31)도 개최하였다. 이번 <한국서예명적(韓國書藝名蹟)> 1차분 5권 발간과 특별전 기획과 작품제작에 참여한 서예사학자 큐레이터 전문작가들이 모여 ‘전통이 미래다’는 주제로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태광그룹 일주‧선화갤러리에서 토론회도 개최한다. 이완우 교수(한국학중앙연구원)가 김생 <낭공대사탑비>, 이암 <문수사장경비 ․ 봉하시 등>, 윤순 <고시서축>을, 이동국 수석큐레이터(예술의전당)는 <광개토대왕비>, 이황 <퇴도선생필법> 필적의 조형분석과 미학에 대해 발표한다. 그리고 김양동, 박원규, 박용설, 김종원 등 원작 재해석에 참여한 작가들의 실천소감도 청취한다. 이번 기회는 우리역사에 등장하는 대표필적을 가지고 한국서예의 미래상에 대해 학자와 작가들이 열띤 토론을 벌이는 첫 자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선화재단 채문정 큐레이터는 “명적 발간과 전시를 통해 가치 있는 우리 문화예술을 서예로 지켜내고, 좀 더 현대적인 다양한 시각에서 함께 나누고 그 의미를 알려서 후대에 계승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예술의전당 이소연학예사도 “우리 예술과 정신의 토대이자 궁극인 서(書)의 복권을 법첩으로 집대성해내는 일은 동서(東西)융합이 화두인 21세기 한국예술의 초석을 놓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제공 | 예술의전당

박병춘·이이남, 회화와 미디어의 만남 ‘개시개비’

[뉴시스] 유상우 기자 | 2015.01.12

신라 시대의 고승(高僧) 원효대사(617∼686)가 주창한 화엄 사상의 핵심 키워드로 ‘어떤 입장도 전적으로 옳거나 전적으로 그른 것은 아니며 각각의 주장이 부분적 진리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서울 영등포구 대림2동 갤러리AG가 ‘개시개비’를 제목으로 내세운 기획전을 마련했다. 전시장은 동양의 공간개념과 정신세계를 근간으로 서양의 현대적 조형기법을 혼용하는 박병춘(49)과 2차원의 동서양 명화를 3차원의 시공간으로 재해석한 영상을 보여주는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46) 작품으로 채웠다. 동양과 서양의 조형어법을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한 회화와 미디어 작품이 만난 전시다. 한국화 장르의 이단아로 꼽히는 박병춘은 주로 농묵의 갈필(渴筆)로 과감하게 윤곽선을 잡은 후 여러 단계의 채색과정을 거쳐 완성하는 작품을 소개한다. 수묵을 기본으로 하지만 목탄·콩테·파스텔·아크릴물감·혼합재료 등 재료에 얽매이지 않았다. 그의 풍경은 실제 현장에서의 사생을 통해 태어난다. 한국은 물론 인도, 유럽, 미주 등을 여행하면서 화첩에 담아온 특징적인 풍경을 작업실에서 재현과 재구성으로 편집한다. 과감하고 거침없는 필법은 화면에 특유한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전시장에는 현장 사생으로 완성한 10호 작품부터 6m가 넘는 대형작품이 설치됐다. 인도·유럽·미주 등에서의 스케치북과 영상물 등 10여 점이다. 이이남은 2차원 평면에서 완성된 회화작품을 근간으로 시간성과 공간성을 가미해 전혀 다른 3차원적 영상장면으로 만들어낸다. 이 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는 동서양 명화다. 3차원적 시공간에 적절한 음향효과까지 덧입히면 또 다른 가상현실을 구현한다.

파올로 벤츄라의 세번째 개인전 "Short Stories"

[갤러리바톤] 아트1 | 2015.01.09

갤러리바톤은 이탈리아 사진작가인 파올로 벤츄라(Paolo Ventura, b. 1968)의 세번째 개인전 "Short Stories"를 2월 4일부터 3월 6일까지 압구정동 전시공간에서 개최한다. 파올로는 자신의 초기 시리즈인 "Winter Stories"부터 사진이라는 장르에 자신의 예술적 상상을 착근시키는 도구로 디오라마(Diorama)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시리즈를 거듭하면서 이미지의 선별, 배경의 해석 등에 변화를 가져오며 발전시켜왔다. 아트디렉터가 극본에 묘사된 공간을 상상력과 고증을 통해 창조하고 등장 인물의 의복과 분장을 정교하게 설정하여 한 장의 스틸 화면을 연출하듯, 디오라마 기법을 통해 작가는 미니어쳐로 제작된 소품과 시공간적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배경을 결합하여 상상의 영역에 머물던 "결정적 장면(Scene)"의 시각화를 이루어낸다. 주로 시리즈로 발표되는 그의 작품들은 근대 유럽, 특히 2차대전 전후의 이탈리아(Italy)라는 특정한 시간대와 공간을 공유하면서, 등장하는 각각의 작품이 시리즈의 중심 테마를 지지하는 장치로 활용되는 동시에 각각의 독립된 단락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수행한다. 파올로식 디오라마 기법은 회화 중심적인 사고에서의 사진에 대한 상대적인 이질감에 대한 일종의 해법을 제시하기도 하는데, 사각 프레임에 포함되는 모든 이미지를 대부분 작가가 실제 제작하고 배경이 되는 평면과 삼차원 공간을 유화 기법으로 재현해 냄으로써, 카메라의 역할을 중립적인 관찰자 또는 일종의 아카이비스트(Archivist)로 활용함이 흥미롭다.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