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2,670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서울서 몸집 키우는 외국 화랑들 ...英 화이트 큐브도 진출(종합)

[뉴시스] 박현주 | 2023.06.08

외국 화랑이 또 들어온다. 페이스, 리만머핀, 타데우스 로팍, 글래드스톤, 페레스 프로젝트, 쾨닉, 페로탕, 에스더 쉬퍼 등 세계 유수의 외국 화랑들이 이미 서울점을 낸 가운데 이번에는 영국 런던이 본점인 화이트 큐브가 서울 지점을 낸다. 데미언 허트스, 샘 테일러 우드가 유명해진 화랑이고, 국내 작가로는 단색화가 박서보 화백이 2017년 개인전을 연 바 있다. 8일 화이트 큐브는 올 가을 아시아의 두 번째 전시 공간으로 대한민국 서울에 ‘화이트 큐브 서울’을 론칭 한다고 밝혔다. 세계 유명 화랑들이 지난해 잇따라 문을 연 것과 달리 늦은 감이 있다. 전시장은 서울 강남 도산대로 호림아트센터 1층에 위치한다. 300m²(약 91평) 규모로 전시 공간, 프라이빗 뷰잉룸, 오피스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화이트 큐브 서울 개관과 동시에 뉴욕에도 첫 번째 공공 갤러리가 오픈 될 예정이다. 화이트 큐브 서울은 2018년 화이트 큐브에 합류한 양진희 디렉터가 이끌 예정이다. 1993년 런던에서 문을 연 화이트 큐브는 홍콩, 파리, 뉴욕 및 웨스트 팜 비치에 지점을 두고, 60여 명 이상의 예술가들과 함께 유럽·아시아 및 미국을 아우르며 온·오프 라인 전시를 펼치고 있다. 세계 유명 화랑들이 서울에 또하나의 전시장을 여는 건 한국 미술시장이 커졌다는 방증이다. 특히 지난해 '프리즈 서울'이 열리면서 서울이 아시아 아트마켓의 노른자위로 떠올랐다. 화이트 큐브의 CEO 제이 조플링(Jay Jopling)도 "2022년 ‘프리즈 서울’을 통해 한국이 가진 세계적인 예술 시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 가을 새로 선보이는 우리의 갤러리 오픈에 맞춰 다시 한번 한국을 찾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 총괄인 웬디 츄 (Wendy Xu)는 “화이트 큐브는 2012년부터 홍콩 본사를 시작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면서 "화이트 큐브의 아시아 내 두 번째 전시 공간인 화이트 큐브 서울의 진출은 우리의 글로벌 전략에 있어 의미가 깊다"고 전했다. 화이트 큐브 서울의 양진희 디렉터는 “한국 아트씬에 있어 지역과 글로벌 간의 연결은 매우 중요하다"며 "화이트 큐브가 지역 예술 커뮤니티와의 연결을 더욱 돈독히 함과 동시에 한국의 아트 시장이 글로벌로 성장해 가는 데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외국 화랑들의 잇단 서울 진출은 생태계 교란종 같은 '황소 개구리'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프리즈 서울'에서 나타났듯 국내 미술시장은 확장세 길에서 순식간에 고꾸라진 모습을 보였다. 안방만 내주고 자생력을 잃었다는 비판까지 나왔다. 외국 화랑들도 마찬가지다. 세계 화랑들의 서울 지점은 자사 전속 작가들만 한국에 전시, 상생 발전과는 거리가 먼 운영을 하고 있다. 거대 프렌차이즈가 골목상권을 점령한 분위기로, 국내 화랑들에 위기감만 조성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023 키아프 서울, 20여개국 210여개 갤러리 참가 확정

[뉴스1] 김일창 | 2023.06.02

오는 9월6일부터 10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22회 키아프 서울에 20여개 국가에서 온 210여개 갤러리가 참가한다. 한국화랑협회는 2일 "이번 키아프 서울에서는 우수한 한국 작가를 비롯해 동시대 아시아 미술을 중심으로 젊고 미래지향적이며 역동적인 현대미술에 주목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처음 참가하는 해외 갤러리는 데니 갤러리(Denny Gallery, 미국), 갤러리 마르구 (Galerie Marguo, 프랑스), 갤러리 토마스 (Galerie Thomas, 독일), 루시 창 파인 아트 (Lucie Chang Fine Arts, 홍콩), 더 홀 (The Hole, 미국), 트라이엄프갤러리 (Triumph Gallery, 중국), 튜스데이 투 프라이데이 (Tuesday to Friday, 스페인), 갤러리델라이브 (Gallery Delaive, 네덜란드), 잭 벨 갤러리 (Jack Bell Gallery, 영국), 미조에 아트 갤러리(Mizoe Art Gallery, 일본), 더 스펙타클 그룹 (The Spectacle Group, 홍콩) 등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참가하는 해외 갤러리는 아시아 아트 센터 (Asia Art Center, 대만), 칼 코스티알 (Carl Kostáyl, 영국), 카발호 파크 (Carvalho Park, 미국), 갤러리아 콘티누아 (Galleria Continua, 이탈리아), 오라-오라(Ora-Ora, 홍콩), 페레스 프로젝트 (Peres Projects, 독일), 화이트스톤 갤러리 (Whitestone Gallery, 일본), 레이첼 ㅁ우프너 갤러리 (Rachel Uffner Gallery, 미국), 스티브 터너 (Steve Turner, 미국) 등이다. 이밖에 아라리오, 비에이치에이케이, 가나아트, 갤러리현대, 학고재, 조현화랑, 금산갤러리, 국제갤러리, 리안갤러리, PKM갤러리, 표갤러리, 우손갤러리 등 국내 주요 갤러리가 모두 참가한다. 올해 키아프 서울은 코엑스 A, B홀과 그랜드볼룸을 포함한 1층 전관에서 열린다. 같은 시기 열리는 프리즈 서울(Frieze Seoul)은 3층 C, D홀을 사용한다. [email protected]

'프리즈 서울' 30개국 120개 갤러리 참여...가나아트 첫 참가

[뉴시스] 박현주 | 2023.06.02

프리즈는 제2회 프리즈 서울에 전세계 30여개국, 120개 이상의 갤러리가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프리즈 서울은 오는 9월6일 프리뷰를 시작으로 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다. 페어의 메인 섹션에는 아시아에 기반을 둔 갤러리들이 늘어 전 세계 89개의 주요 갤러리가 참여한다. 한국에서는 갤러리바톤, 국제갤러리, 학고재, 갤러리현대, PKM갤러리가 지난해에 이어 이름을 올렸고, 가나아트가 첫 참가를 알렸다. 디렉터 패트릭 리는 "이번 행사는 특히 한국 내 거점을 둔 아시아 갤러리들에 주목했다"며 "올해도 한국화랑협회가 운영하는 키아프서울(Kiaf SEOUL)과 함께 공동 개최하며 서울의 창조적인 커뮤니티의 성장을 축하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리즈 서울은 2022년 성공적인 론칭에 이어 프리즈 마스터스 디렉터인 네이슨 클레멘-질리스피(Nathan Clements-Gillespie)가 이끄는 프리즈 마스터스 섹션이 다시 개최된다. 올해 이 섹션은 시대를 초월하는 20여개 이상의 갤러리로 확장되며 수천 년 역사의 주요 작품을 현대적인 관점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프리즈 마스터스는 올드 마스터부터 20세기 후반까지의 주요 걸작을 포함하여 수집 가능한 작품들이 소개된다. 또한 2011년 이후 개장한 갤러리 10개의 솔로 아티스트 발표를 보여주는 '포커스 아시아' 섹션도 펼친다. 장혜정(두산 갤러리 수석 큐레이터)과 조셀리나 크루즈(Director and Curator at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Design (MCAD), De La Salle-College of Saint Benilde, Manila)가 자문위원으로 함께 했다. 한편 이번 프리즈 서울에서는 LG올레드(LG OLED)가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다. 프리즈의 글로벌 리드 파트너는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하는 도이치뱅크(Deutsche Bank)가 지원을 계속한다.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