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735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뭉크의 절규, 사실은 절규를 듣고 귀막는 모습"

[뉴스1] 강민경 | 2019.03.25

"에드워드 뭉크의 '절규'는 예술사에서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지만, 그림 속 남성이 단순히 비명을 지르는 사람으로 보인다면 작품을 잘못 해석하는 것이다" 내달 대영박물관에서 열리는 뭉크 전시회의 큐레이터 줄리아 바트럼은 21일(현지시간) CNN과의 인터뷰에서 뭉크의 '절규'가 비명을 지르는 사람이 아닌 비명을 듣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바트럼은 "오슬로의 선홍색 하늘이 (그림에 등장한) 남성이 크게 불안해하는 듯한 효과를 연출한다"면서 "이 작품은 뭉크의 개인적인 감정을 아주 많이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뭉크는 독일어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이렇게 표기했다. "나는 자연의 거대한 비명을 느꼈다." 실제로 그림 속 남성은 두 손을 양쪽 귀에 대고 있다. 마치 파도처럼 요동치는 듯한 모습도 이 남성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게 바트럼의 설명이다. 바트럼은 "이 그림은 남성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고 잘못 해석하기 쉽지만,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작품에 투영할 수 있다"면서 "모두가 절망의 순간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년간 뭉크의 '절규'는 핵 군축 캠페인 등 정치적인 이미지로도 차용됐지만 뭉크는 자신의 작품이 공개적인 메시지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길 바라지 않았다고 바트럼은 전했다. 바트럼은 "뭉크는 아주 사적인 것을 중시하는 사람이었고, 심지어 이미지의 재생산이 지금보다 훨씬 느린 그 당시에도 자신이 작품에 대한 통제력을 잃을까 우려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영국은 현재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를 앞두고 정치적 교착상태를 겪고 있다. 이에 대영박물관이 뭉크 전시회를 여는 것이 이와 관련있다는 설도 제기됐다. 바트럼은 해당 전시회와 브렉시트의 시점이 겹치는 것은 서로 연관이 없다고 주장하며 "우리는 이 때를 맞춰 전시회를 할 계획이 없었다. 순전히 우연이다"라고 선을 그었다. '에드워드 뭉크: 사랑과 불안' 전시회는 4월11일부터 7월21일까지 대영박물관에서 열린다. 노르웨이 오슬로의 뭉크 박물관에서 온 뭉크 작품 50여점이 전시된다. pasta@

현대차, 英테이트모던 미술관 전시 작가에 '카라 워커' 선정

[뉴시스] 박민기 | 2019.03.13

현대자동차는 영국의 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에서 개최되는 '현대 커미션'의 2019년 전시 작가로 '카라 워커'가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현대 커미션은 2014년 현대차와 테이트 모던이 체결한 11년 장기 후원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대규모 전시 프로젝트로 현대미술의 발전과 대중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매년 1명의 작가를 선정해 테이트 모던의 중심부에 있는 초대형 전시장 터바인 홀(Turbine Hall)에서 새로운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카라 워커는 오는 10월2일부터 내년 4월5일까지 약 6개월 간 터바인 홀에서 다섯 번째 현대 커미션 전시를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출신의 세계적 예술가 카라 워커는 검은 종이를 오려 만드는 실루엣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드로잉, 인쇄, 벽화, 그림자 인형, 프로젝션, 대형 조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폭력 등 현대 사회의 주요한 문제를 자신만의 솔직한 시선으로 탐구해 왔다. 현대차 관계자는 "역사, 문화, 인종 등 다양한 경계를 넘어 현대 사회의 선입견을 날카롭게 바라보는 카라 워커가 현대 커미션을 통해 어떤 질문을 제시할 지 기대된다"며 "현대자동차는 예술을 통한 새로운 경험과 가치 제공을 위해 파트너 미술관들과 협력 관계를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영국 테이트 모던과의 11년 장기 파트너십 외에도 국립현대미술관, 미국 LA 카운티 미술관(LACMA) 10년 장기 후원 등 중장기적으로 문화예술 후원 활동을 펼쳐가고 있으며, 올해도 다양한 글로벌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 가치와 새로운 경험을 전달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누드 모나리자'도 역시 다빈치가?

[뉴스1] 한상희 | 2019.03.10

'누드 모나리자'는 이탈리아 천재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직접 그렸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모나리자를 닮은 목탄 누드 드로잉 '모나반나'는 지금까지 다빈치의 피렌체 작업실에서 그려진 것으로만 추정돼 왔을 뿐 다빈치가 직접 그렸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루브르 박물관은 "현미경 조사 결과 모나반나 도면 대부분을 다빈치가 그렸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모나반나의 얼굴과 손, 몸 크기나 표현기법이 모나리자와 아주 흡사하다"고 밝혔다. 이어 "다빈치가 모나리자 준비 작업의 일환으로 모나반나를 그린 것 같다"면서 "모나리자와 같은 시기에 함께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루브르 박물관 산하 C2RMF 연구소의 역사가와 과학 전문가들은 수개월에 걸쳐 모나반나를 조사했다. 루브르 박물관의 마티외 델디크 큐레이터는 "작품 모든 부분에서 왼손 숯 자국이 나타났다"면서 "모나반나는 단순히 잃어버린 원작을 모방한 것이 아니라 위대한 예술가에 의해 수행된 매우 훌륭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델디크는 "모나반나를 다빈치의 작품으로 분류하는 작업을 신중히 해야 한다.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절대 확신할 순 없다고 덧붙였다. 이 작품은 1862년부터 프랑스 콩드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올해 말 다빈치 사망 500주년을 기념해 프랑스 샹티에서 열리는 특별 전시회에 진열될 예정이다. angela0204@

지난해 세계 미술시장 호황…2030 젊은층이 주도

[뉴스1] 권영미 | 2019.03.08

미중 무역 전쟁과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글로벌 경제 리스크가 부각되었던 지난해 미술시장이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자들)의 구매에 힘입어 호황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현지시간) 스위스 금융기업인 UBS와 아트바젤이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미술시장의 전체 매출(거래시장 규모)은 전년대비 7% 증가한 674억달러(76조6000억원)를 기록했다. 보고서에는 UBS와 예술경제학자인 클레어 맥앤드류가 영국·독일·일본·싱가포르·홍콩 등에서 실시한 설문조사도 포함됐다. 설문에서 22세에서 37세 사이의 젊은층은 이전 세대들보다 기꺼이 예술에 큰돈을 들이는 성향을 보였다. 이들은 응답자의 3분의1에 불과했지만 지난 2년 동안 정기적으로 100만달러 이상을 소비한 구매자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 회계법인인 딜로이트는 젊은층의 부의 규모가 커지고 부모들에게서 재산을 물려받는 혜택을 입게 되면서 2020년에는 밀레니얼 세대의 부의 규모가 24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계자들은 이들의 온라인과 미술품 선호의 소비행태는 관련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016~18년에 밀레니얼 세대 구매자 중 93%는 온라인으로 평균 10만6930달러를 미술품에 소비했다. 반면 그보다 좀 더 나이든 층인 X세대(38세~52세)는 온라인으로 평균 50만달러를 미술품에 썼다. 하지만 (구매) 빈도수는 적었다. ungaungae@

예술을 담는 그릇

[L\'Officiel Hommes Korea] L\'Officiel Hommes Korea | 2019.03.04

공간도 하나의 유기체처럼 끊임없이 변화하고 증폭한다. 예술을 담는 그릇인 미술관은 건축물 그 자체로 작품과 예술적 역할을 공유하고 있다. SEE ALSO: 사막, 그리고 디올의 서커스! 글렌스톤 뮤지엄 GLENSTONE MUSEUM 워싱턴 DC 외곽, 메릴랜드주 포토맥에 자리한 글렌스톤 뮤지엄은 세계에서 가장 큰 프라이빗 미술관 중 하나가 아닐까. 글렌스톤의 광대한 부지에 새로 지은 파빌리온이 10월 4일 문을 열기 때문이다. 총면적 약 4600㎡의 전시 공간을 갖춘 파빌리온의 증축은 토머스 파이퍼 & 파트너스가 디자인을 담당했다. 파빌리온이 완성됨에 따라 글렌스톤 뮤지엄은 뉴욕의 휘트니 미술관, 로스앤젤레스의 더 브로드 미술관보다 더 큰 규모를 자랑하게 되었다. 브리들 트레일을 따라 흐르는 포토맥강의 지류인 그린배리어천 주변과 큰 연못, 작은 백합 연못 등 독특한 수생 생태계를 품고 있는 글렌스톤 뮤지엄. 넓은 구역에 드문드문 설치된 야외 조각품 컬렉션은 예술, 건축, 풍경을 완벽하게 통합한다. 호숫가 물안개 너머로는 엘즈워스 켈리의 높이 14m짜리 스틸 기둥이 우뚝 솟아 있고, 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의 설치물은 하늘을 비추는 두 개의 웅덩이와도 같다. 미로 혹은 분계선처럼 자리한 리처드 세라의 <실베스터(Sylvester)>(2001)와 <컨투어 290(Contour 290)>(2004)도 눈길을 끈다. 글렌스톤 뮤지엄은 건축과 예술이 조우하는 4만㎡ 이상의 풍경을 선사한다. 숲, 산책로, 개울과 목초지, 야외 조각품 등이 평화로이 어우러지는 풍경이다. 이곳에서 건축은 예술 작품, 아름다운 녹음만큼이나 필수적이며, 컬렉션과 방문객의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최소한의 디자인을 지향한다. 글렌스톤 뮤지엄의 설립자이자 억만장자인 미첼 롤스와 그의 아내인 미술사학자 에밀리 롤스는 글렌스톤 뮤지엄이 뉴욕 예술 산업의 선구자였던 프리크 미술관의 현대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글렌스톤 뮤지엄의 제2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파빌리온을 증축하기 위해 롤스 부부는 전 세계의 50여 개 박물관을 방문했고, 코펜하겐 외곽의 루이지애나 박물관, 스위스 바젤의 베일러 재단 미술관, 텍사스 휴스턴의 메닐 컬렉션 미술관 등에서 영감을 얻었다.2006년에 개관한 본관 갤러리는 과스미 시겔 & 어소시에이츠 아키텍츠의 건축가 찰스 과스미가 설계를 맡았다. 그는 널찍한 전시 공간과 연못이 내려다보이는 테라스를 만들고, 화강암과 스테인리스 스틸, 티크 등 제한된 재료를 이용해 건축물이 주변 풍경 및 그것이 수용하는 예술과 조화를 이루며 존재하도록 디자인했다. 현재 본관에서는 지난 5월 10일부터 2020년 1월까지 이어지는 전시회 <루이스 부르주아: 고통을 해소하기(Louise Bourgeois: To Unravel a Torment)>가 열리고 있다. 프랑스 태생의 미국인 예술가 루이스 부르주아가 50여 년간 보여준 선구적 작품 활동을 담은 전시다. 글렌스톤 뮤지엄의 소장품인 <아버지의 파괴(The Destruction of the Father)>(1974) 등 그녀의 작품 30여 점을 함께 볼 수 있다. 이번에 증축된 파빌리온은 변화무쌍한 전시 공간과 특정 예술가를 위한 전용관 여덟 개 등 총 열두 개의 방으로 이뤄진다. 각 방은 모두 작품을 독특한 비율로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모든 방은 유리로 덮인 통로로 연결되며, 통로 주변으로 계절마다 변화하는 수생식물이 자라는 6만㎡ 규모의 워터 코트가 바라보인다. 조명은 커다란 창문과 천장으로 쏟아지는 자연광을 이용한다. 여덟 개의 전용관은 찰스 레이, 로니 혼, 브라이스 마든, 마이클 하이저, 마틴 퓨리어, 사이 톰블리 등의 작품만을 전시한다. 방문객은 파빌리온에 도달하기 위해 10분 동안 초원을 가로질러 걸어가야 하는데, 그 시간은 마치 도시 생활을 뒤로하고 자연에 빠져드는 고요한 체험을 위해 떠나는 여행처럼 느껴질 것이다. 족히 대여섯 시간은 잡아야 둘러볼 수 있는 방대한 풍경과 예술 그리고 건축은 모두 무료로 개방된다. 미첼은 1990년대부터 미술품을 수집하기 시작했으며, 1998년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지에서 살아난 후 그토록 공을 들인 글렌스톤 컬렉션을 무료로 운영하기로 했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온 후 자기 삶의 우선순위를 돌이켜보고 가족에게 중요한 유산으로 남기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오는 이들 롤스 부부의 컬렉션은 부부의 사후에도 컬렉션에 포함된 예술가의 작품을 위주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add 12002Glen RoadPotomac, Maryland 20854 tel 301-983-5001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코톨드 갤러리, 코톨드 컬렉션 60년 만에 파리서 선봬

[더 리더] 최정면 | 2019.02.25

영국의 기업가 겸 후원자인 사무엘 코톨드의 소장품이 파리에서 60년 만에 공개된다. 이번에 선보이는 소장품은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과 코톨드 갤러리((Courtauld Gallery)가 파리 루이 비통 재단 미술관에서<코톨드 컬렉션: 인상주의에 대한 시선(The Courtauld Collection. A Vision for Impressionism)>전시에서 선보여진다. 런던 소재의 코톨드 갤러리가 지난해 9월부터 보수공사로 일시 폐관하면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주로 회화와 일부 그래픽 작품으로 구성된 사무엘 코톨드 컬렉션 소장품 100여 점의 작품들이 대거 전시된다. 지금까지 소장품의 대부분은 코톨드 갤러리에 상설전으로 소개되어 왔으며, 세계적인 국공립 및 사립 미술관에서도 전시된 바 있다. 이번 전시에는 사무엘 코톨드의 형제 스티븐 코톨드(Stephen Courtauld)가 소장했던 윌리엄 터너(William Turner)의 수채화도 포함된다. 전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인 마네(Manet), 쇠라(Seurat) 세잔(Cézanne), 반 고흐(Van Gogh), 고갱(Gauguin))을 접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선사한다. 또한, 사무엘 코톨드의 선구자적인 컬렉터로서의 역할과 그가 영국 내 인상주의 미술이 인정받는 데 미친 영향을 조명한다. 그의 컬렉션은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의 <폴리-베르제르의 술집(A Bar at the Folies-Bergère)>, 고갱이 타히티 여인 누드를 그린 대작 <네버모어(Nevermore)>, 르누아르(Renoir)의 <특별관람석(La loge)>,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그림 중 하나로 꼽히는 <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Self-Portrait with Bandaged Ear)> 같이 상징적인 작품과 함께 성장했다. 특히, 반 고흐의 작품은 1955년 오랑주리 미술관(Musée de l’Orangerie)에서 전시된 후 처음으로 파리를 다시 찾았다.

인상주의 최고 수집가 '코톨드 컬렉션' 루이비통재단 미술관 전시

[뉴시스] 박현주 | 2019.02.21

반고흐 세잔 마네 르네등 인상주의 미술품 최고 수집가로 꼽히는 사무엘 코톨드(Samuel Courtauld)의 컬렉션이 프랑스 파리 루이비통재단 미술관에서 60년만에 공개된다. 에두아르 마네, <폴리베르제르의 술집>; 빈센트 반 고흐,<귀에 붕대를 감은 자화상>등 세계적인 명화등 100여 점을 선보인다. <코톨드 컬렉션: 인상주의에 대한 시선>을 타이틀로 단 루이비통 재단 미술관의 2019년 첫 기획전으로 20일 개막했다. '코톨드 컬렉션'은 런던의 코톨드 갤러리에서 상설전으로만 소개되어왔다. 2018년 9월부터 보수공사로 일시 폐관하면서 기획된 전시다. 이번 전시에는 사무엘 코톨드의 형제 스티븐 코톨드(Stephen Courtauld)가 소장했던 윌리엄 터너(William Turner)의 수채화도 소개한다. 전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가장 위대한 프랑스 회화 작품(마네, 쇠라, 세잔, 반 고흐, 고갱(Manet, Seurat, Cézanne, Van Gogh, Gauguin))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또한 사무엘 코톨드의 선구자적인 컬렉터로서의 역할과 그가 영국 내 인상주의 미술이 인정받는 데 미친 영향을 조명한다. 영국 섬유기업가이자 유명 미술 수집가인 사무엘 코톨드는 '현대미술의 아버지' 폴 세잔의 명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세잔의 <큰 소나무가 있는 생 빅투아르 산>과 유명한 <카드놀이 하는 사람들>의 다섯 가지 버전 중 하나 등을 비롯해 영국 내 최대 규모의 세잔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다. 10년간의 수집 활동을 거쳐 런던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코톨드 미술연구소와 갤러리를 설립하여 소장하고 있던 대부분의 명작을 기부했다. 1932년 서머셋 하우스에 개관한 코톨드 갤러리는 유럽 최고 인상주의 컬렉션을 자랑한다. 개인 컬렉션과 더불어, 그는 런던 내셔널 갤러리(National Gallery)코톨드 펀드(Courtauld Fund)를 형성해 기관의 인상파와 후기 인상파 회화 매입에 활용해 국립 미술관 컬렉션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가장 주목할 만한 컬렉션 작품 중 하나인 반 고흐의 <삼나무가 있는 밀밭>의 경우, 영국 국공립 컬렉션에서 소장한 첫 반 고흐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현대 건축·디자인의 다빈치' 멘디니 88세로 별세

[머니투데이] 배성민 | 2019.02.20

프루스트 의자 시리즈 등으로 유명한 이탈리아의 건축가 겸 디자이너인 알레산드로 멘디니가 18일 세상을 떠났다. 향년 88세. 1931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멘디니는 급진적 디자인 운동과 포스트모던 운동의 전위에서 활약했고 1970년대 잡지사 기자를 시작으로 1985년 '도무스' 편집장을 지냈다. 논객으로도 활동했지만 50대 중반에는 ‘아틀리에 멘디니’를 차리고 디자인계에 뛰어들었다. 손자를 위해 해와 달을 본 떠 만든 스탠드 ‘아물레또’, 바로크식 의자에 색점을 찍어 만든 ‘프루스트 의자’ 등이 대표적이다. 건축가와 디자이너의 영역을 넘나들며 네덜란드 그로닝거 미술관, 일본 히로시마 파라다이스 타워 등 세계 유명 랜드마크를 디자인했으며, 카르티에, 에르메스, 스와로브스키, 스와치 등과도 협업했다. 그로닝거 미술관은 20세기 후반 가장 놀라운 포스트모던 건축물로 불리며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1001'에도 선정됐다. 생전 “디자인 작품은 박물관에서 보는 게 아닌, 생활 속에서 느끼며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철학을 강조해 왔던 그는 예술·가구·건축·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쏟아냈다. 다양한 활동으로 그는 ‘현대판 레오나르도 다빈치’, ‘이탈리아가 낳은 디자인 거장’ 등으로 불리며 존경받았다. 특히 멘디니가 제작한 '프루스트 의자' 시리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바로크식 의자에 점을 찍어 완성한 작품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한국과도 인연이 많았던 멘디니는 한샘, 삼성전자, 한스킨, SPC 등과 협업했으며, 2015년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대형 회고전을 열었다. [email protected]

알레산드로 멘디니 별세, 향년 88···이탈리아 건축·디자이너

[뉴시스] 이수지 | 2019.02.20

이탈리아의 건축가 겸 디자이너 알레산드로 멘디니(88)가 18일 세상을 떠났다. 1931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멘디니는 1960년대 급진적 디자인 운동과 포스트모던 운동의 핵심 인물이다. 1970년대 잡지사 기자를 시작으로 건축과 디자인 분야에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그는 1985년 '도무스' 편집장을 지냈다. 생전 멘디니는 "프루스트 의자는 수공예로 이뤄진 예술작품, 그로닝거 미술관은 다양한 기능을 담은 건축물, 아물레토 램프는 테크놀로지와 디자인을 접목한 나의 디자인 철학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꼽았다. 멘디니가 1978년 처음 제작한 '프루스트 의자' 시리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바로크식 의자에 점을 찍어 완성한 작품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 그로닝거 미술관은 20세기 후반 가장 놀라운 포스트모던 건축물로 불리며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1001'에도 선정됐다. 손자의 눈이 건강해지고 손자가 꿈을 이루길 바라며 제작한 라문 아물레토 LED스탠드도 인간과 자연을 재미있게 실용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는 제품으로 평가 받고있다. 깔끔하면서도 특유의 미학적인 디자인으로 작품성뿐 아니라 기술성도 인정받아 미국 시카고 아테나에움 굿디자인 수상 및 영구소장, 독일 뮌헨 피나코텍 국제현대미술관 영구 소장 및 전시작이다. [email protected]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