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주메뉴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외부링크용로고

732개의 글이 등록되었습니다.

백남준아트센터, '구보타 시게코' 추모행사 5일 뉴욕서 개최

[뉴스1] 박정환 | 2015.08.04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의 부인 구보타 시게코(久保田成子, 1937~2015) 여사 추모 행사를 오는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메모라빌리아'(Memorabilia)에서 연다고 3일 밝혔다. 고 시게코 여사는 지난 8월23일 오랜 투병 생활 끝에 뉴욕의 베스 이스라엘 병원에서 78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는 추모행사와 함께 오는 9일까지 '메모라빌리아'에 분향소도 설치·운영한다. '메모라빌리아'(Memorabilia)는 뉴욕의 브룸 스트리트(Broome Street)에 위치했던 백남준의 스튜디오를 원래 모습으로 재현한 상설 전시공간이다. 추모행사는 고인의 약력 소개, 관련 영상 상영, 백남준과 친분을 나눴던 지인과 예술계 인사들의 추모사, 헌화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추모행사는 백남준의 배우자이기 이전에 '작가'로서의 고인을 조명하는 데 중점을 둬서 영상 2편을 상영할 예정이다. 첫 번째 영상은 독립영화 관계자와 비디오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미국 영화 연구소상(American Film Institute Award)을 수상한 고인의 1995년 시상식 영상을 편집한 것이다. 두 번째로 소개할 영상은 고인이 1999년 백남준을 피사체로 제작한 '전자 기억'(Electromagnetic Memory)이라는 비디오다. 젊은 시절의 백남준과 퍼포먼스 풋티지, 그리고 노년의 백남준을 교차 편집한 본 영상 작품은 총 상영시간 27분으로 추모행사에서는 편집본이 상영될 예정이다. 고인은 1964년 초 도쿄에서의 첫 개인전 이후 뉴욕 르네 블록 갤러리, 뉴욕현대미술관(MoMA), 휘트니 미술관 등에서 '비디오 조각' 개인전을 열만큼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던 고인의 대표작으로는 '계단을 내려오는 나부(1976)'가 있고, 백남준과의 공동 작업으로는 '철이철철-TV깔대기', 'TV 나무' 등이 있다. 백남준아트센터 이외에도 같은 날(5일) 오후 5시 용인에 있는 한국미술관에서도 고인을 추모하는 전시와 무용가 홍신자의 추모 퍼포먼스가 진행된다. 한편 고인의 지인들은 뉴욕에서 오는 10월 초 다양한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공식 추모행사를 기획 중이다. 이 행사에는 백남준아트센터 서진석 관장이 참여할 예정이다. art@

英, 中 반체제 예술가 6개월 비자 신청 거부

[뉴시스] 이수지 | 2015.08.03

중국 당국에 압수됐던 여권을 4년 만에 돌려받은 중국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58)가 중국 주재 영국 대사관에 6개월짜리 비자를 신청했으나 비자 신청서에 거짓된 내용이 있어 거부됐다고 영국 BBC방송이 30일 보도했다. 그는 이날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자신의 전과를 신고하지 않아 영국 입국이 제한됐다는 내용이 담긴 공문을 공개했다. 중국 주재 영국 대사관의 비자이민국이 보낸 이 공문은 “귀하가 요청한 기한에 대해 귀하의 신청서가 출장 방문 규정에 맞지 않아 귀하의 영국 입국이 제한됐다”며 “귀하는 이전에 중국에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전과가 있다는 것이 문제가 됐으며 귀하는 이를 신청서에 신고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공문은 이어 “이번에는 예외적 사례로 하기로 했으나 귀하는 앞으로 비자를 신청할 때 가능한 한 정확하게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며 “이 같은 신청서 제출 규정을 준수하지 않으면 10년 간 비자신청이 거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아이웨이웨이는 지난 2011년 중국에서 81일 간 구금됐지만, 범죄로 기소되거나 유죄 판결을 받은 적이 없다. 그는 이후 인스타그램에 “범죄 혐의로 기소되거나 유죄 판결을 받은 적 없다”며 “이를 주장하기 위해 영국 대사관 비자이민국에 전화통화를 했으나 대사관 관계자들은 자신들의 자료가 정확하다고 주장하며 오해를 인정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오는 9월 영국 런던에 있는 왕립미술원에서 열리는 자신의 단독전시회에 참석하기 위해 신청한 20일짜리 비자는 받았다. 영국 내무부는 이날 성명에서 “비자 신청 심의에서 관련 법률에 따라 신청자 개인의 업적을 고려한다”며 “아이웨이웨이는 요청했던 방문 기간에 대한 비자는 발급했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중국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 압수 여권 4년 만에 반환

[뉴시스] 양아름 | 2015.07.29

중국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58)가 중국 당국에 압수됐던 여권을 4년 만에 돌려받았다고 영국 BBC방송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유명 설치미술가이자 인권 운동가인 아이웨이웨이는 본인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오늘 여권을 돌려받았다"라는 글과 함께 여권 사진을 게재했다. 그의 지지자들은 포스팅을 공유하고 환호했다. 아이웨이웨이는 2011년 탈세 혐의로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그리고 홍콩행 비행기로 오르다 붙잡혀 기소 없이 81일 간 구금됐다. 이때 여권도 압수당했다. 당국은 '경제적 범죄'를 저질렀다는 명분으로 아이웨이웨이의 회사 '페이크 디자인'에 1500만 위안(당시 약 27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그의 지지자들은 당국의 박해에 대해 공산당과 정부에 대한 아이웨이웨이의 거침없는 행보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아이웨이웨이는 중국의 인권 유린과 정치 시스템에 관해 문제 제기해 왔다. 반체제 활동은 주로 미술과 온라인 프로필을 통해 이뤄졌다. 중국 당국이 대외적으로 공산당에 흠을 내는 반체제 인사의 여권을 압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여권을 돌려받은 아이웨이웨이는 아들이 지내는 독일이 첫 여행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국은 수년 간 여권을 돌려주겠다고 했다…여권을 돌려주지 않겠다고 한 적은 결코 없다. 반환까지 4년이 걸린 것을 제외하고는…"이라며 중국 국경 밖으로 여행하는 것이 합법적으로는 허용됐으나, 국경을 넘는 것은 비자 발급 여부에 달렸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30일 국외여행 권리 회복을 요구하는 뜻으로 자신의 작업실 앞 자전거 바구니에 꽃다발을 놓아둔 사진을 본인의 트위터 계정에 올린 바 있다.

백남준 부인·예술적 동반자, 구보타 시게코 여사 별세

[머니투데이] 최광 | 2015.07.27

세계적 비디오 아티스트 고 백남준(1932~2006) 작가의 부인 구보타 시게코(久保田成子) 여사가 미국 뉴욕의 한 병원에서 23일(현지시각) 저녁 별세했다. 향년 78세. 백남준아트센터 측은 26일 "생전의 백남준 선생과 작품활동을 함께했던 작가 등으로부터 구보타 여사가 현지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암 투병을 하던 구보타 여사의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슬하에 자녀가 없는 구보타 여사의 장례절차 등을 현지 지인 등이 의논하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구보타 여사는 도쿄교육대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했으며, 전위적 예술운동인 '플럭서스' 멤버이자 비디오 아티스트로 활동했다. 백 작가에게는 부인이자 예술적 동반자의 관계였다. 도쿄에 살고 있던 구보타 여사는 백 작가가 도쿄에서 퍼포먼스를 한 1963년 처음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만난 지 14년이 지난 1977년 결혼했다. 1996년 백 작가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 구보타 여사는 자신의 예술활동을 포기하고 남편을 돌봤다. 구보타 여사는 10년 넘게 연인으로 지냈지만, 결혼만은 거부했던 백 작가가 돌연 청혼한 이야기 등을 담은 회고록 '나의 사랑, 백남준'을 남겼다. 구보타 여사는 백 작가와 사별 후에도 2010년 이 책의 출간 간담회, 2012년 백남준 탄생 80주년을 맞아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열린 특별전 등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2016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총감독에 칠레 건축가 선정

[뉴시스] 신진아 | 2015.07.22

2016년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 총감독으로 칠레의 건축가 알렉한드로 아라베냐(48)가 선정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21일 “현지시간으로 지난 18일 베니스 비엔날레 재단(이사장 파올로 바라타)은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총감독으로 건축가 알레한드로 아라베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파올로 바라타 이사장은 총감독 선정의 이유로 2014년 제14회 건축전에 렘 콜하스가 보여준 건축 리서치의 연장에서 건축이 사회의 여러 요구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며, 알레한드로 아라베냐는 그 역할에 가장 잘 어울리는 건축가라고 밝혔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프리츠커 상(pritzker prize)의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알레한드로 아라베냐는 학교 건물 등 공공건물을 주로 설계해 왔다. 2000년부터 2005년까지 하버드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공공건축 프로젝트인 엘리멘탈(Elemental)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TED 등 각종 강연을 통해 건축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서도 탐구하고 있다. 2007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2008년 밀라노 트리엔날레 등 주요 비엔날레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했다. 베니스 비엔날레에는 2008년, 2010년, 2012년 3회 연속으로 참여했다. 2008년 제11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에서는 그의 프로젝트 그룹인 엘리멘탈이 촉망받는 젊은 예술가에게 수여하는 은사자상(Silver Lion Prize)을 수상했다. 베니스 비엔날레는 1895년 시작된 세계 최고(最古), 최대(最大) 규모의 비엔날레이며, 미술전과 건축전을 격년마다 번갈아 개최한다. 전 세계 60~90개국이 참여하는 국가관 전시와 총감독이 직접 큐레이팅하는 국제전(본 전시), 그리고 재단의 승인을 거친 병행전시(Collateral Event)와 기타 자유참가 전시로 이루어지는 미술계 최대 이벤트이다. 제15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은 2016년 5월 28일부터 11월 27일(프리뷰 5월 26일, 27일 이틀)까지 베니스 자르디니 및 아르세날레 등에서 개최된다.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의 운영은 1995년 개관 당시부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명진)가 운영하고 있다. 내년도 한국관의 커미셔너는 베니스 비엔날레의 주제 등을 감안해 선정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문화재청, 조계종과 협력해 美 경매 출품 도난 불화 환수

[뉴스1] 박창욱 | 2015.07.21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장 자승 스님)은 협력을 통해 미국 경매에 출품된 도난 불화인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東岳堂在仁大禪師眞影)을 환수하고, 21일 오후 2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환수 공개식을 가진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국정과제인 ‘문화재 환수활동 강화’를 통해 역사 정체성을 회복하고 국민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도 도난문화재 환수를 위해 1999년부터 관련 자료를 축적하고 환수 활동을 추진해왔다. 이에, 두 기관은 지난해 10월 '불교 문화재 도난예방 및 회수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불화 환수는 업무협약 이후에 거둔 최초의 성과이다.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비단 채색, 97㎝×65㎝)은 18세기에 활동했던 승려인 ‘동악당재인대선사’(생몰년 미상)를 그린 초상화다. 전라남도 순천시 소재 선암사 진영각(仙巖寺 眞影閣)에 보관되어 있었던 것이다. 현재 진영(眞影, 고승을 그린 초상화)에는 남아 있지 않지만 도난되기 이전 화기(畵記, 불화에 기록된 명문)에 ‘乾隆三年癸亥二月○日(건륭3년 계해2월○일)’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제작연대(1738년)를 알 수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진영으로 평가된다. 건륭은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연호다. 문화재청은 지난 3월에 미국인 A씨가 B경매소에 이 불화를 출품한 사실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파악한 후 도난 문화재임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대한불교조계종과 선암사는 불화를 적극 환수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문화재청은 지난 3월 B경매소에 도난 문화재임을 통보하고 즉각적인 경매중지를 요청했고, 경매소에서 이를 수용함에 따라 문화재청과 출품자 A씨는 협상을 통해 반환에 합의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불화의 환수가 대한불교조계종,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선암사 등이 각자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업과 분업을 추진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밝혔다. 대한불교조계종은 1999년부터 '불교문화재 도난백서'를 발간해 도난 문화재에 대한 자료를 축적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외국 경매 현황을 모니터링하여 경매 출품 사실을 파악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실은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관련 자료를 비교해 도난 문화재임을 확인했다. 아울러 선암사는 미국에서의 진영 이운(移運, 불상 등을 옮겨 모심)과 관련된 비용을 부담했다. 한편, 이날 환수 공개식과 병행해 문화재청과 대한불교조계종은 국외 소재 불교 문화재의 정보공유와 환수를 강화하기 위한 협력각서 체결식을 진행한다. 이번 협력각서는 지난해 10월 체결한 '불교 문화재 도난예방 및 회수를 위한 협약서'의 대상을 국외 소재 불교 문화재까지 확대하고 협력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재청과 대한불교조계종은 이번 '동악당재인대선사진영'의 환수와 협력각서 체결을 계기로 국외 소재 불교 문화재의 현황과 반출경위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도난 문화재로 확인되는 경우 즉각 환수할 수 있도록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cup@

최상단으로